우주에서 미생물까지 자유분방한 상상력

우주에서 미생물까지 자유분방한 상상력

입력 2010-05-29 00:00
업데이트 2010-05-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형렬 새 시집 ‘나는 에르덴조… ’

‘…분명하게 말해서 나는 지금/ 에르덴조 사원이 있는 것처럼 에르덴조 사원에 있다/ 그래 에르덴조 사원에 내가 있다는 것은/ 에르덴조 사원이 없다는 것과 진배없다’(‘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중)

고형렬(56)이 4년 만에 내놓은 시집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창비 펴냄)의 표제작이다. 그의 시(詩) 세계가 커다랗게 출렁거리다 다시 귀환했음을 짐작하게 해주는 의미있는 작품이다. 1980년대 리얼리즘 영역에서 우직한 한 뿌리를 이뤄왔던 고형렬은 이번 시집을 통해 1979년 등단 초기 품었던 시 세계로 돌아왔음을, 아니 그 시 세계를 한 단계 끌어올렸음을 선언한다.

급하게 ‘에르덴조 사원’을 찾아봤다. 몽골이 번성하던 시절의 수도였던 하라호름에 있는 라마불교식 사원이다. 황량한 벌판 한가운데 108개의 첨탑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그가 ‘시인의 말’에서 ‘에르덴조 사원에 잠깐 머물렀다.’라고 밝혔듯, 그는 그 곳을 방문한 적이 있다. 물론, 굳이 에르덴조 사원에 장소적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 그 곳은 단지 그의 시적 진화의 완성을 보여주는 공간일 뿐이다. 그가 곧바로 ‘ 나는 그 때 지상의 다른 곳에 있지 않았다.’고 슬쩍 덧붙인 것이 해결의 열쇠를 건네준다. 시인의 시선이 분산되거나 이동되지 않았던 곳이 에르덴조 사원인 셈이다.

그의 등단작은 ‘장자’(莊子)다. 고향인 강원도 속초 근방의 산과 바다의 풍경을 보며 장자를 강렬히 떠올렸다. 장자가 ‘소요유’(逍遙遊)에서 새가 된 물고기를 얘기하듯, 또한 장자가 무변광대(無邊廣大)하게 시선, 공간을 이동시켰듯 ‘바다 속에는 해가 지는 집이 있다.’고 노래하거나 ‘…날아가는 새가 울고 싶다.’고 썼다.

신작 시집에서는 우주적 광대함과 달개비, 귀뚜라미 등 미세한 생물까지 가없는 시적 상상력을 선보인다.

‘옥수수수염귀뚜라미의 기억’과 같은 시편은 시인이 현대 물질문명의 상징으로 80층 고층빌딩의 승강기 기계음과 가느다란 귀뚜라미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는 귀와 눈을 갖고 있음을 확인시킨다.

‘달개비들의 여름 청각’은 물론, ‘나방과 먼지의 시’는 장자의 ‘호접몽’(胡蝶夢) 역시 시인의 시선이 공간과 시간에 얽매이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29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