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비극 금융위기로 표출

자본주의 비극 금융위기로 표출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처음에는 비극으로…】 슬라보예 지젝 지음 창비 펴냄

게오르크 헤겔이 말했다. 역사는 필연적으로 반복된다고. 칼 마르크스는 자신의 저서 ‘루이 보나파르트 브뤼메르 18일’에서 이 생각을 고쳐 말한다. “어디에선가 헤겔은 모든 거대한 세계사적 사건과 인물들은, 말하자면 두 번 나타난다고 말한다. 그는 이렇게 덧붙이는 것을 잊었다-처음에는 비극으로, 그 다음에는 희극으로.” 마르크스는 1830년대와 1840년대 진행됐던 독일 구체제의 쇠퇴를 프랑스 구체제의 비극적 몰락의 희극적 반복으로 진단했다.

슬로베니아 출신의 비판 철학가 슬라보예 지젝은 마르크스가 현재까지 살아 있다면 같은 말을 또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21세기 초반 10년을 열고 닫은 두 가지 큰 사건, 2001년 9·11 테러 사건과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놓고서다. 지젝은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김성호 옮김, 창비 펴냄)에서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역사의 종말’을 통해 승리를 선언했던 자유민주주의 유토피아가 두 사건들로 무너졌다고 지적한다. 전자가 자유주의의 정치적 유토피아를 무너뜨렸다면, 후자는 경제적 유토피아의 붕괴를 상징한다는 것.

저자는 서브프라임 사태와 리먼브러더스 부도 등으로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가 모순적인 상황을 가져왔다고 본다. 2000년 이후 반세계화 시위에서 끊임없이 경고해 왔으나, 애써 외면당했던 일이 결국 발생하자 미국 오바마 정부는 엄청난 규모의 구제금융 정책을 폈다. 거대 금융기관은 최대한 보호됐다. 수많은 노동자들이 직업과 저축과 집을 잃었다. 미국 보수 공화당은 국민의 세금으로 부자가 망하지 않게 돕는 조치를 사회주의라고 비난했고, 진보 진영은 이를 지지했다. 지젝은 이러한 이데올로기적인 혼선이 위기의 본질을 간파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고 지적한다.

우파들은 붕괴의 책임을 자본주의 체제가 아니라 거대 금융기관의 타락 등 우연적인 일탈에 돌리고 있다. 소련 붕괴 때 사회주의자들이 ‘소련의 실패’를 ‘사회주의 자체의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고 사회주의의 한 잘못된 실현의 실패라고 규정했던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라는 게 저자의 시각이다.

그래서 저자는 세계금융 위기가 진행되며 불거져 나오는 자유주의와 도덕주의 이야기는 본질을 흐리는 공갈이라고 일갈한다. 나아가 자본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더 이상 도전받지 않아도 되는 탈이데올로기화된 자연 그 자체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지젝은 현재의 금융위기가 필연적으로 좌파를 위한 공간을 열어주리라는 순진한 기대를 경계하면서도 “자유민주주의적, 도덕주의적 공갈의 시대는 지났다. 지금까지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했을 뿐이라면 앞으로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1만 5000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7-03 18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