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집 ‘그냥’ 낸 음악감독 박칼린

에세이집 ‘그냥’ 낸 음악감독 박칼린

입력 2010-11-20 00:00
수정 2010-11-20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살 거라면, 할 거라면 가장 뜨거운 한가운데 활활 타오르고 싶다

‘그냥’이다. 책 제목치고는 소박하다. 제목만으로 독자를 ‘낚는’ 책들이 지천인데, 이렇게 심드렁해서야 낙양의 지가를 높이기는 애당초 그른 일일 터다.

이미지 확대
박칼린
박칼린
그런데 저자를 알고 나면 그럴 법하다며 고개가 주억거려진다. 그라면 자신의 책을 말할 때 요란한 수식어를 되레 거추장스럽게 생각할 테니 말이다. KBS ‘남자의 자격’을 통해 스타 반열에 오른 뮤지컬 음악감독 박칼린이 에세이집 ‘그냥’(달 펴냄)을 냈다. 3년 동안 틈틈이 썼다는 책 속에 다문화 가정에서 자란 어린 시절과 뮤지컬 무대 뒷이야기, ‘남격’ 합창단과 함께 한 3개월의 추억 등을 풀어 놓았다.

방송에서 그의 별명은 ‘칼마에’다. 하지만 뮤지컬계에서는 ‘서쪽 연습실의 사악한 마녀’로 통한다. 워낙 모질게 배우들을 훈련시키기 때문이다. ‘틀리는 걸 용납할 수 없다.’ ‘매번 탈진할 정도로 1000%의 에너지를 쏟길 원한다.’ 등이 그가 밝힌 ‘무대에서 결코 양보할 수 없는 15가지 목록’이다. “100번만 해 보고 난 다음에 다시 얘기하자.”는 말은 늘 입에 달고 산다. 그렇지만 기꺼이 ‘사악한 마녀’가 될지언정, 양보할 생각은 절대 없단다. 언제나 무대는 실수를 용서하지 않는 냉혹한 곳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부산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부산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책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한다. 대체 그 많은 사람들을 언제 어떻게 다 만났을까. ‘그냥’이란 말로는 도저히 설명되지 않는다.

‘열정’이다. 그에게 ‘그냥’이란 ‘열정’과 이음동의어일 거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그런 까닭이다. 책 말미에 나오는 문구들을 되새겨 보면 한층 또렷해진다.

“나는 무언가를 포기한 배우들과 작업하고 싶지 않다. 가장 뜨거운 곳에서 물러나는 사람과는 놀고 싶지도 않다./…/나는 기대한다. 나와 창작을 하는 이들은 물론,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 단 한 순간도 흐트러짐 없이 가장 뜨거운 한가운데를 향하여 눈부신 열정을 안고 달려가는 것을 말이다./…/할 거라면, 살 거라면 가장 뜨거운 곳 그 한가운데에서 가장 뜨겁게 사는 게 중요한 게 아닐까. 적어도 나는 그렇다. 밋밋하게 죽으려 살 바에야 활활 타오르고 싶다.”

일가붙이를 제외하고, 그가 ‘그냥’ 만나게 된 사람은 없다. 자신만 그 사실을 몰랐을 뿐이다. 활활 타오르는 그의 곁에 머물면서 데이지 않으려면, 상대방도 활활 타올라야 하지 않겠나.

‘앙큼하게도’ 책은 에세이를 표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은 그렇다. 부러 예쁘게 나온 어릴 적 사진을 골라 넣고, 시치미 뚝 떼며 자신도 아리따운 처자라는 ‘사실’을 은근히 과시한다. 반세기만에 고향 땅 리투아니아를 밟게 된 어머니를 위해 밤새 십자가를 깎았다는 대목에서는 인간적인 그의 모습도 엿보인다.

한데 읽으면 읽을수록 가슴이 턱 막히곤 한다. 은연중 그 많은 사람과, 그 많은 일들과, 그 많은 일정들을 자신의 인생에 대입하게 되니 말이다. 그러니 세상 가장 뜨거운 곳에 선 자신을 발견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선뜻 ‘마녀의 서재’에서 책을 뽑아 ‘그냥’ 읽을 일이다. 1만 2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11-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