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크는 상부상조 교육법

함께 크는 상부상조 교육법

입력 2010-12-25 00:00
업데이트 2010-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생님들에게 드리는 100가지 제안】수호믈린스키 교육사상연구회 편역 고인돌 펴냄

결론부터 말하자면 공(共)진화(co-evolution)다. 진화란 이기적인 개인 간의 경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우정 어린 협력 덕택이라는 것이다. 쉽게 말해 “1명의 천재가 10만명을 먹여 살린다.”는 게 사업에서 잔뼈가 굵은 이건희 삼성 회장의 지론이라면, ‘공진화’를 믿는 이들은 “10만명을 고르게 먹여 살려야 그 1명의 천재가 나온다.”고 되받는다.

‘선생님들에게 드리는 100가지 제안’(수호믈린스키 교육사상연구회 편역, 고인돌 펴냄)은 교육 문제에 있어서 공진화를 얘기하는 책이다.

선생님들끼리, 학생들끼리 경쟁시키면 성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주장에 명확히 선을 그으며 반대한다. 교사와 아이들을 경쟁시키기보다는 서로 도와주고 북돋아주는 것이 오히려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국내에도 많이 소개된 ‘핀란드 교육혁명’을 연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런 공진화 논의는 오래됐다. 경쟁이 번영을 낳는다는 생각의 뿌리로는 흔히 ‘사회적 다위니즘’이 꼽힌다. 그런데 그 원조 격인 다윈은 정작 ‘종의 기원’에서 집단 내 협력이 그 집단의 생존을 보장한다고 언급했다. 러시아 생물학자 표트르 크로폿킨은 1902년 ‘상부상조론’에서 “경쟁보다는 협력이 진화에 도움된다.”고 역설하면서 사회적 다위니즘을 강하게 비판했다.

‘선생님들에게’는 옛 소련의 교육학자 바실리 수호믈린스키(1918~1970)의 글에서 추출한 100가지 이야기로 구성됐다. 그는 30권의 저서와 500여편의 논문을 남겼다. 학자였을 뿐 아니라 지금의 우크라이나 지방 시골 중학교에서 문학 교사로도 일했다. 자신이 겪은 사례를 중심으로 선생님들의 구체적인 행동 방식을 일일이 언급한 점이 흥미롭다.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 가르치는 법’, ‘새 교재를 가르칠 때 규칙과 공식을 정확하게 가르쳐야’, ‘학습 속도가 더딘 학생에게 책 읽기를’, ‘사고력 수업이란 자연계를 여행하는 것’ 등의 글들은 몰라서가 아니라 잊고 있었던, 혹은 잊으려 애썼던 가치들을 돌아보게 한다. 때문에 이는 선생님들에게 하는 제안인 동시에 저학년 아동을 둔 학부모가 읽어도 좋을 책이다. 3만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2-25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