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협한 민족주의 벗고 해방 역사 정리”
역사서는 진실만의 기록일까? 그 질문에 고개를 끄덕일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집요한 역사 왜곡만 봐도 그런 불신은 타당성을 얻는다. 그렇다면 우리 스스로 써온 우리의 근현대사는 어떨까. 불행하게도 그 역시 왜곡과 수정을 반복하고 있다. 그런 굴절의 기록에 메스를 들이대는 역사학자가 있다.![최근 ´해방일기1-해방은 도둑처럼 왔던 것인가´를 펴낸 김기협 전 계명대 교수. 그는 좌도 우도 아닌 중간지대에 발판을 만들고 싶다고 말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29/SSI_20110429183246.jpg)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최근 ´해방일기1-해방은 도둑처럼 왔던 것인가´를 펴낸 김기협 전 계명대 교수. 그는 좌도 우도 아닌 중간지대에 발판을 만들고 싶다고 말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29/SSI_20110429183246.jpg)
최근 ´해방일기1-해방은 도둑처럼 왔던 것인가´를 펴낸 김기협 전 계명대 교수. 그는 좌도 우도 아닌 중간지대에 발판을 만들고 싶다고 말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그게 못마땅한 그는 스스로 ‘중도파’가 되어 65년 전 해방공간에 촘촘하게 짠 그물을 던진다. 그렇게 건져 올린 사실들을 생중계 하듯 오늘의 세상에 들려 준다. 그의 집필세계로 잠시 따라 들어가 봤다.
●일지형식 빌려 써내려가
“연구자들이 쓴 역사서의 한계는 독자와의 거리를 도외시한다는 것입니다. 어찌 보면 물건을 포장도 안 하고 내놓는 셈인데 소비자로서는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지요.”
‘해방일기’가 기존의 근현대사와 다른 점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그의 대답은 명쾌하다. 독자와의 거리를 좁혔다는 것이다. 한국근현대사를 집필하게 된 계기가 뉴라이트의 역사의식에 대한 반감이었다는 점도 분명히 밝힌다.
“편협한 민족주의에서 벗어나 거시적 관점으로 해방의 역사를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돌아보면 이쪽과 저쪽만 존재하는 진영논리에 떠밀려 발언 기회조차 갖지 못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습니까. 그런 맹목적 논리에서 벗어나 중간지대에 발판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일기’라는 제목이 특이하다는 질문에, 일지처럼 써 나간 책의 형식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족사와도 관련이 있다고 털어놓는다. 그의 선친은 전쟁일기 ‘역사 앞에서’의 저자인 김성칠 전 서울대 교수, 모친은 국어학자인 이남덕 전 이화여대 교수다.
“아버지의 ‘역사 앞에서’가 가문의 첫 번째 일기라면, 어머니의 병원생활을 기록해서 지난 1월 발간한 ‘아흔개의 봄’이 두 번째 일기지요. 그리고 이번 ‘해방일기’가 세 번째인 셈입니다.”
그의 이력을 들여다보면 독특한 궤적을 발견할 수 있다. 1968년 서울대 이공계열에 수석으로 합격, 물리학과에 입학했다가 사학과로 전과했다. 졸업 후에도 학문유랑은 계속된다. 경북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교수로 후진을 가르쳤지만 어느 날 갑자기 학교를 떠난다. 이후 신문사의 전문위원 등으로 적을 두기도 했지만 대부분 야인으로 지냈다. 그러다 몇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저술활동을 시작했다.
“물리학을 공부할 때는 자연의 본질을 장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어요. 노벨상을 꿈꿨지만 목적을 달성할 만한 환경이 안 된다는 걸 깨닫게 됐습니다. 그 뒤는 마음대로 하고 싶어서 찾아다닌 과정이었습니다. ‘학자는 이래야 한다’는 일찌감치 형성된 고정관념이 있었거든요. 굳이 키워드를 찾자면 오기라고 할까요. 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거라는 걸 뻔히 알면서도 하기 싫은 일을 할 수는 없었습니다.”
●3년간 있었던 일 3년 안에 쓸 것
어쩌면 그런 오기와 고집이 ‘해방일기’ 집필의 원동력이 됐을지도 모른다. 그것도 3년 동안 10권이라는 방대한 분량을 써 내겠다고 달려드는….
“1945년 8월에서 1948년 8월까지 3년 동안 있었던 일을 3년 안에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적대적 공생관계에 돌파구가 있을지 탐색하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좋은 세상에 대한 희망을 갖고 열심히 써 보겠습니다.”
이호준 편집위원 sagang@seoul.co.kr
2011-04-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