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로 읽는 DJ 납치사건

소설로 읽는 DJ 납치사건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전명 KT】이원호 지음 네오픽션 펴냄

“2004년 ‘국가정보원 과거 사건 진실 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가 구성돼 그해 11월 ‘김대중 납치사건 진실규명’ 백서를 발표했지만, 여전히 의혹이 풀리지 않았다. 또 ‘DJ 납치 사건’에 대한 국내 소설이 한 편도 없다.”

‘강안남자’로 잘 알려진 소설가 이원호가 최근 장편소설 ‘작전명 KT’(네오픽션 펴냄)를 내놓은 이유를 말레이시아에서 국제전화로 3일 이렇게 설명했다. 납치사건 당시의 작전명은 ‘KT’. DJ 납치 사건을 소재로 한 한·일 합작영화 ‘KT’가 2002년 5월 개봉됐었기 때문에 작전명이 낯설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김대중의 일본식 발음 ‘긴다이주’의 영어 약자로, 표적을 암살하라는 뜻의 ‘킬링 더 타깃’(Killing the Target)이란 머리글자를 중앙정보부가 작전명에 붙였다.

1973년 터진 김대중(DJ) 납치 사건은 너무나 유명한 국제적 사건이지만, 유명도에 비해 사건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그저 박정희 군사독재 시절에 벌어진 인권유린 정도로 넘어갈 뿐이다. 1975년 검경합동특별수사본부가 불기소로 내사 종결한 탓이다.

소설은 1997년 12월 DJ가 대통령에 당선된 날에서 시작해 1972년으로 회귀한다. DJ 납치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 일본에서 비서를 맡았던 최한수가 회상의 주인공. 최한수는 중앙정보부의 직원이면서 미국 CIA의 정보원이다. 유신헌법을 반대하며 일본과 미국을 떠도는 한국의 유력한 야당 지도자가 납치될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그래서 미국 CIA도 감지했다는 시나리오다. 그러나 당시 미국은 대통령 선거와 베트남 전쟁, 닉슨 대통령 워터게이트 파문으로 자잘한 한국 문제에 신경 쓸 수 없다. DJ를 정치적으로 악용하고자 남북한 정보부가 야합하려는 시도에서는 기가 막힌다. 또 세계 경찰을 자임하며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을 주창하는 미국이 친미 정권 앞에서 얼마나 잘 침묵하는지 냉혹한 국제정치의 세계도 볼 수 있다.

2004년 백서를 기초로 해서 규명하지 못한 부분에 상상력을 덧댔다. 따라서 한·미·일 음모를 꿰뚫는 ‘최한수’는 당연히 가공의 인물이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8-04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