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의 농장운영 이야기 귀농 희망자들 읽어볼만

필자의 농장운영 이야기 귀농 희망자들 읽어볼만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미친 농부의 순전한 기쁨 】 조엘 샐러틴 지음 알에치코리아 펴냄

세상에서 가장 좋은 직업을 꼽으라면 어떤 것이 떠오를까. 저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농부를 최고의 직업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행복한 사람이 있다. 미국 버지니아 주 폴리페이스 농장의 하루는 가축들을 새로운 방목지로 옮기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농장에서는 새로운 방목지를 ‘샐러드 바’라고 부른다. 기름진 땅 위에 푸르게 돋아난 풀들을 소들이 한 축 뜯고 지나간다. 그러면 닭들을 그곳으로 옮긴다. 닭들은 소가 뜯은 풀의 밑동을 마저 뜯고 소똥 속에서 구더기를 찾아 먹는다. 그러면서 소똥은 파헤쳐지고 땅속으로 고르게 배어 들어가 들판을 기름지게 한다. 또한 가축들에게 뜯긴 풀들은 시간이 지나 다시 자란다. 땅과 태양의 조화로 만들어 낸 풀은 소와 닭과 돼지의 먹이가 되고, 똥이 되고, 흙이 되고, 다시 풀이 된다.

이 농장의 주인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토지 치유 전문가로 알려진 조엘 샐러틴이다. 신간 ‘미친 농부의 순전한 기쁨’(조엘 샐러틴 지음, 유영훈 옮김, 알에치코리아 펴냄)은 모든 생물의 고유한 특성을 존중하며 자연 친화적인 방식으로 농장을 꾸려 나가는 농부(저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안타깝게도 삼라만상이 서로 연결돼 있다는 것을 잘 모르는 그리스·로마 전통의 서양문화는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의 행복까지 함께 아우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유기적 관계 속에서 순환하는 생태계의 원리를 거스르고 있다는 것이다. 농장이란 다양성과 복수성이 활개치는 작은 우주이며 한 포기의 풀은 ‘우주의 피’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무위자연, 즉 자연의 순리에 따라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도 평화롭게 공생하는 농업 철학을 가지고 섬세하게 농장을 운영하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들려준다. 태양 에너지로 풀이 자라고 초식동물과 육식동물로 이어지는 생태계 순환의 궤적을 쫓는다. 풀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탄소를 축적하고 산소를 공기 중으로 내뿜는다. 풀은 소의 먹이가 될 뿐만 아니라 뿌리를 통해 토양이 유기물을 축적하게 한다. 모든 것이 흙에서 시작해 흙으로 돌아가는 풀 농법의 이치를 따른다. 또한 소의 소다움, 닭의 닭다움의 환경을 만들고 소비자가 건강한 식탁을 차릴 수 있도록 세세하게 살피고 있어 눈길을 끈다.

그러는 한편 유전자 조작 농산물은 인류를 구원하지 못할 것이며 식량문제 해결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또한 거대한 토지에 단일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은 생산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이나 농업에서 블루오션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은 관심 있게 읽어 볼 만한 책이다. 1만 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12-2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