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를 위한 도시설계, 행복사회로 가는 길

약자를 위한 도시설계, 행복사회로 가는 길

입력 2013-11-16 00:00
업데이트 2013-1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시를 걷다/이훈길 지음 안그라픽스/212쪽/1만 5000원


몇 해 전 청계광장 시점부의 왕복 차도가 완공됐을 때다. 당시 공사를 진행했던 서울시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바닥에 깐 박석에 여성들의 하이힐 뒷굽이 끼어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꼭 여성들만 그랬을까.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이나 지팡이를 짚어야 하는 노인 등에게도 길이 ‘거대한 장애물’이나 다름없지 않았을까. 만약 이들을 염두에 두고 조성했다면 길의 형태는 지금과 상당히 달라졌을 거다.

‘도시를 걷다’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장애인은 물론 임산부나 노인, 그리고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도시건축과 도시설계가 결국 모든 이의 일상을 행복하게 하고, 또 사회를 안전하게 만든다는 걸 알려 주고 있다. 흔히 장애인 편의시설이라 하면 장애인만 사용하는 시설이라고 인식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장애인의 기본권 보장은 물론 일반인의 편리함까지 담보한다. 자동문과 리모컨이 좋은 예다. 둘은 애초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졌다. 한데 지금은 비장애인의 일상까지 편리하게 만들었다. 사회적 약자들이 살기 좋은 도시환경을 만든다는 건 곧 도시가 인간 중심의 공간이 된다는 걸 뜻한다. 저자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도시건축 디자인 원리가 ‘무장애 디자인’과 ‘유니버설 디자인’이다. 무장애 디자인은 장애인이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을 하는 데 아무 불편이 없도록 건물이나 도시, 시설물을 만드는 것이다. 단순하게 말해 장애인이 장벽으로 느낄 수 있는 모든 물리적 장애를 없애자는 거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좀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연령이나 능력에 관계 없이 모든 이들이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게 도시를 설계하자는 거다.

한데 한국의 현실은 열악하다. 도시건축에 사회적 약자의 일상을 온전하게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일반인 모두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책은 장애인 화장실, 출입구 단차, 계단과 경사로, 엘리베이터와 복도, 거리의 점자 블록과 건널목 보행신호 등 사회적 약자가 자유롭게 일상을 영위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설물에 대한 최소 기준, 각종 편의시설과 보도, 놀이 및 휴게공간 등에 대한 세부 지침은 물론 전반적인 법 제정의 필요성에까지 외연을 넓히고 있다. 저자는 맺는말을 통해 “우리의 일상을 각박하고 답답하게 만드는 중요 원인 중 하나가 건축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인식”이라며 “일상에서 즐겁게 만날 수 있는 건물과 시설이 많아지면 행복한 사회, 좋은 사회에 좀 더 가까워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11-1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