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장의 지각변동, 시민을 깨우다

공론장의 지각변동, 시민을 깨우다

입력 2013-11-30 00:00
업데이트 2013-11-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의 탄생/송호근 지음/민음사/548쪽/3만원



한국의 근대는 언제 형성됐고, 어떤 과정을 거쳐 성숙해졌을까. 사회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 주제에 대해 탐구해 왔지만 한국 근대의 기원과 진화 궤적은 여전히 모호하다. ‘시민의 탄생’은 19세기 후반 등장하기 시작한 ‘자각인민’들이 근대적 개인을 거쳐 시민으로 태어나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저자가 근대를 분석하는 틀로 삼은 건 ‘공론장’이다. 저자는 이를 ‘특정 계급이 자신의 계급적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활용하는 정보와 상품의 유통 영역이자 수단으로 인쇄 매체, 모임, 토론 단체, 교통망, 그 밖의 유통 기제들을 동원하여 계급적 합의를 창출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공적 기제의 총체적 네트워크’라고 규정했다. 쉽게 말해 여론이 형성되고 결집하는 모든 영역이 공론장이라 보면 무리가 없겠다. 저자는 “조선의 역사는 공론장 구조 변동의 역사”라고 잘라 말한다. ‘조정 담론장’의 영향력이 쇠퇴하면서 양반 공론장을 계승한 ‘지식인 공론장’이 형성됐고, 동학운동에 의해 ‘세속적 평민 공론장’이 대두한 데 이어 지식인 공론장과 평민 공론장이 상호 연대하고 공명하면서 조선 근대화의 맹아도 싹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근대로의 이행은 일제의 조선 병탄으로 갑작스레 차단된다. 저자는 이 과정을 ‘동굴’에 비유한다. 개인과 사회는 동굴 속에 갇혔고, 시민과 시민사회의 출현은 늦춰졌다. 시민의 탄생은 식민 통치 아래 유일하게 허용됐던 상상력의 공간, 문학의 영역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 이른바 ‘동굴 속의 공론장’이 식민지 조선의 현실이었던 것이다.

책은 1, 2부로 나뉜다. 1부에선 ‘말안장 시대’의 조선을 다룬다. ‘말안장 시대’는 마주보고 있는 양 모서리가 맞닿는 ‘안부’(鞍部)에서 착안한 용어다. 저무는 시간과 생성되는 시간이 겹쳐지는 부분, 그러니까 주자학 지식기반의 양반 사회가 언문(한글) 기반의 인민 사회로 변이되는 과정을 일컫는다. 2부는 근대 이행에 관한 분석이다. ‘말안장 시대’를 마감한 조선이 일제에 병탄되는 과정 속에서 근대인과 근대사회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공론장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있다.

아쉽게도 책은 여기까지만 적고 있다. 저자의 말처럼 ‘동굴 속 시민이 현실 세계로 나아가 진정한 시민을 형성하는 이 파노라마, 그리고 해방 후 전쟁과 산업화를 거쳐 민주적 시민 사회를 만들어 간 역경의 드라마를 추적하는 작업은 후속과제’로 남았다. 하지만 분명한 건 극단적인 경쟁과 갈등으로 소통이 사라진 한국 사회가 대화와 토론, 합의가 이뤄지는 공론장과 그에 따른 시민의 출현 과정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유효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11-3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