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 없는 수백개 문학상 문학도 없다”

“색깔 없는 수백개 문학상 문학도 없다”

입력 2014-01-02 00:00
수정 2014-01-02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평론가 이경호 에세이집 출간

1990년대 유례없는 호황을 누린 우리 문학계. 경제 규모가 커지며 독자층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문예지와 문학출판사, 사보를 발행하는 기업 등이 늘면서 전업 작가가 대거 생겨났다. 하지만 출판사들이 좋은 작가를 먼저 확보하기 위해 수천만원을 계약금으로 건네던 호시절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끝나고 말았다.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독자층도 줄자 전업 작가들은 당혹감과 절망에 휩싸였다. 전국 수십 개에 이르는 문예창작과의 교수로 뽑히기 위해 문인들이 대학원에 진학하는 현상이 벌어진 것도 이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이경호 문학평론가
이경호 문학평론가
이에 대해 이경호(58) 문학평론가는 에세이집 ‘사랑의 황금률’(황금알)에서 이렇게 충언한다.

‘전업 작가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중요한 것은 창작의 보람이 본래부터 생계를 보장해 주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그것은 영혼의 양식을 서로 나누는 작업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전업 작가란 호칭의 뜻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것은 글을 써서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작가를 뜻하는 게 아니라, 먹고사는 문제와 상관없이 글쓰기에만 전념하는 작가를 뜻하는 것이다.’(40~41쪽)

저자는 책에서 문학상과 문학상 시상식, 등단 뚜쟁이의 역할, 원고 청탁과 투고, 문학 교육 등 문학계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짚어 내고 충심 어린 고언(苦言)을 아끼지 않는다. 수백 개가 넘는 문학상은 제각기 독특한 위상과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하나같이 그해의 가장 뛰어난 문학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한다는 색깔 없는 심사 기준을 내세우고, 지역 문학상이면 작품성과 상관없이 해당 지역 출신 문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등 주최측의 이해관계로 수상작이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또 문학상의 시상식은 문인들이 즐거워하는 축제의 장이 아니라, 심드렁해하거나 부담을 느끼는 행사로 변질됐다고 꼬집는다. 문학상이 전국 수백 개에 이를 만큼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것도 그렇지만 시상식이 정부, 공공기관에서 개최하는 경축행사나 기념식을 닮아 가기 때문이다. 문예지들이 유명 필자나 자기 문예지 출신 문인에게 청탁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관행은 창작의 열정과 능력을 갖춘 문인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앗아 간다고 지적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1-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