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우월주의 대신 원시문명” 구조주의 인류학의 전환점 제공
상표인 ‘리바이스’(Levi´s)가 청바지로 의복의 역사를 바꿔놨다면, 같은 이름인 레비 스트로스(Levi Strauss)의 구조주의 역시 인류학의 전환점을 제공했다.스트로스의 저작을 읽지 않았더라도 그가 주창한 ‘문화상대주의’는 들어봤을 것이다. 그는 문화적 우월주의를 인정하는 대신 원시문명을 존중했고, 서구 역사에서 나타난 대규모 학살이나 전쟁의 야만성을 비난했다.
2009년 100세의 나이로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할 때까지 그는 16권의 저술을 남겼지만, 국내 번역된 책은 명성에 비해 많지 않다. ‘슬픈 열대’를 비롯해 ‘신화와 의미’, ‘야생의 사고’, ‘신화학1-날 것과 익힌 것’, ‘신화학2-꿀에서 재까지’, ‘보다 듣다 읽다’ 등 6권이 한글로 번역됐다. 그의 학위 논문인 ‘친족의 기본구조’도 한글로 소개되지 않았다. 그의 구조주의 인류학이 국내에서 깊이 있게 연구되고 있는지 의심을 품게 만드는 대목이다.
역으로 스트로스가 인류학자로서 다양한 예술 장르를 구조적으로 해석한 ‘보다 듣다 읽다’는 최근까지 꾸준히 읽힌다. 자신의 예술편력을 풀어낸, 비교적 쉽게 쓰인 이 책이 국내 독자에게 읽히는 데에서 이야기꾼으로서의 그의 가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4-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