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호’ 톨스토이는
“우리는 톨스토이에 관한 책들만으로도 도서관 하나를 꽉 채울 수 있을 것이다.” - 얀코 라브린“러시아 문학사에 가장 위대한 예술가는 아닐지라도 가장 거대한 인간” - D S 미르스키
톨스토이는 ‘대문호’라는 호칭이 부족하지 않은 몇 안 되는 작가다. 또한 계몽운동가이자 사회평론가이기도 하다. 톨스토이의 사상은 러시아에서는 ‘톨스토이즘’이라는 철학의 한 갈래일 정도이니 그 깊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젊은 시절의 톨스토이는 영지에서 농노들을 대상으로 계몽 실험을 펼친 이상주의자였고, 동시에 철저한 쾌락주의자였다. 성욕과 도박에 무너지고 난 뒤 자신에 대한 환멸을 느끼기를 반복했고, 이는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 죽을 때까지 톨스토이를 괴롭혔다. 후세 학자들은 이 같은 경험이 그의 작품과 사상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말년 역시 복잡한 인간관계와 실패로 점철돼 있다. 톨스토이는 40대 후반 이후 종교에 심취했고, ‘비폭력주의’를 앞세운 새로운 기독교를 제창했다. 삶에서 문학보다 종교의 비중이 커져 가면서 부인 소피아 및 자녀와의 갈등이 심해졌고, 그의 작품에 여성과 결혼에 대한 불신이 노골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대가의 마지막 역시 이런 갈등의 산물이었고, 초라했다. 1910년 10월 27일, 톨스토이는 가출을 감행했고, 열흘 만에 기차 여행 중 얻은 폐렴으로 숨졌다.
톨스토이의 유산 중에 가장 오래 남은 것은 문학이다. 하지만 그의 사상 역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남겼다. 톨스토이는 1909년 남아프리카에서 인권 보호 활동을 벌이던 한 인도인 변호사가 보낸 편지를 받았다. 이 변호사는 고국으로 돌아가 톨스토이의 사상을 기반으로 비폭력 투쟁을 시작한다. 변호사의 이름은 모두 짐작하다시피 마하트마 간디였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07-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