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을 꿈꾼 노비, 그들이 원했던 삶은

양반을 꿈꾼 노비, 그들이 원했던 삶은

입력 2014-09-06 00:00
업데이트 2014-09-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권내현 지음/역사비평사/204쪽/1만 2800원

이미지 확대
정초부는 18세기 노비 출신 시인이다. 조선 후기 최고 시인들의 작품을 실은 ‘병세집’에는 정초부의 시가 무려 11수나 실려 있을 정도로 시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문벌가문에서 태어난 그의 주인 여춘영은 어릴 때는 그를 스승으로, 어른이 되어서는 벗으로 여겼다고 한다. 정초부가 죽자 여춘영은 그를 묻고 돌아오는 길에 “삼한 땅에 명문가가 많으니 다음 세상에는 그런 집에서 나게나”라고 읊조렸다. 정초부가 양반들로부터 대우를 받은 것은 그가 글을 익혔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시를 남겼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재능을 알아본 주인의 배려가 있어서 가능한 것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노비에게 학문의 탐구나 지배층의 배려란 비현실적인 꿈이었을 뿐이다. 그것은 노비가 신분제의 속박으로 대대로 주인가문에 예속된 소유물이었기 때문이다.

새 책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은 17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조선에서 양반이 되려 했던 어느 노비 가계의 200년을 추적한 기록이다. 노비 신분이었던 김수봉은 온갖 노력을 기울인 끝에 마침내 평민이 된다. 그로부터 증손자 대에 이르기까지 200년이 지났을 때 김수봉의 후손들은 완전히 양반 집안으로 상승됐다. 저자는 한 노비의 신분 상승 욕구와 그에 따른 구체적 변화과정을 관련 호적과 족보를 통해 밝혀내면서 조선 중기와 후기에 신분제도가 지녔던 모순과 한계를 사회사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노비니까 당연히 신분 상승을 꿈꾸었을 것이라는 막연한 가정이 아니라 당시 노비의 삶이 지닌 예속적이고 열악한 인간조건을 세밀하게 분석하면서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삶이 얼마나 제한적이었는지를 상세하게 밝혀내고 있다. 아울러 조선시대 하층민들의 신분성장사까지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있어 흥미롭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4-09-06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