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들의 병기창/문광훈 지음/한길사/1104쪽/3만 5000원
발터 벤야민(1892~1940)은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지식인 가운데 오늘날까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의미심장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상가다. 베를린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벤야민은 나치를 피해 프랑스 파리에서 망명생활을 하다 막다른 길목에 처하자 스페인의 국경 마을 포르부의 한 모텔방에서 모르핀을 삼키고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일생의 대부분을 읽고 쓰기에 몰두했던 그는 문학과 비평, 매체학과 미학, 철학과 정치이론, 도시분석과 자본주의 비판, 문화학, 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풍부한 논의를 담은 탁월한 글을 남겼다. 학자도, 번역가도, 신학자도, 시인도, 철학자도 그 무엇도 아니었지만 무엇이든 될 수 있었던 고독한 지식인의 비극적인 삶과 사유 방식은 많은 후대 지식인들의 지적인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주제였다.
독문학자 문광훈 충북대 교수는 6년간의 사색과 모색 끝에 발터 벤야민에 대한 본격 연구서 ‘가면들의 병기창’을 내놓았다. 벤야민이 남긴 네 권의 저서와 500편이 넘는 논문과 논설, 서평, 소책자, 정치적 선전문구, 플래카드, 포스터 등을 모두 찾아 읽으며 이 ‘잡다한 무더기’ 속에서 그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짚었다. 그리고 벤야민의 사유와 통찰 중에서 어떤 것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여전히 유효한지를 검토했다. 단순한 독해를 넘어 오늘의 상황, 즉 한국의 문학적·문화적 지형에 맞는 새로운 벤야민론을 재구성해 보기 위한 시도다.
저자는 “벤야민의 저작이 주는 충격은 다채롭고, 그 논의에는 이견의 여지가 많으며, 그 사유법은 복잡하면서도 급진적이다. 그것은 매우 인화성이 높은 취급 주의 저작물”이라며 글을 시작한다.
이런 특성은 벤야민의 독특한 사유 방법에서 나온다. 벤야민의 사유는 예술과 비평, 작품과 매체, 원전과 번역, 정치와 희망, 법과 정의, 역사와 구원, 전통과 아방가르드, 폭력과 화해처럼 이율배반적 축 사이에서 움직이되 낯선 것들의 상호대립적 길항작용에서 나오는 생산적 에너지에 집중한다. 그러면서 “더 진실하고 더 선하며 더 아름다운 것”으로 향해 나간다.
저자는 “그가 고민한 문제는 세속적인가 아니면 신성한 것인가, 역사인가 아니면 신인가와 같은 양자택일적 선택이 아니라 세속적인 현실에서의 구원가능성이었다”고 설명한다. 벤야민은 미리 주어진 신념이나 가치를 무조건 따르지 않고 지속적인 질문을 제기하는 가운데 여러 원칙과 명제를 서로 떼어내 다시 잇고 다시 와해시킨다. 따라서 그의 텍스트는 복잡한 구조나 다양한 주제의식, 이질적인 입장들 간의 균형 속에서 자기 관점을 드러낸다.
저자는 “벤야민의 사유방법은 해체구성의 변증법이고, 그 내용은 좀 더 공정한 세계, 즉 억압과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세계이며 그 목표는 행복일 것”이라며 “(벤야민이 그랬듯이) 문화적으로 축적된 모든 것은 오늘의 관점에서 부단히 검증되어야 하고, 이 검증 속에서 늘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책의 제목은 벤야민의 문제의식을 한마디로 압축하는 표현으로 벤야민 사후 10년 만에 출간된 ‘베를린의 어린시절’에 실린 글에서 따왔다. 가면은 예술에 대한 비유다. 벤야민의 사유공간은 세상과 대결하기 위해 예술이라는 무기를 벼린 곳이고, 그의 글들은 예술의 저항적 가능성을 탐색한 병기창인 셈이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1933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파리 망명생활은 불안하고 궁핍했지만 그 와중에도 발터 벤야민은 거의 매일같이 파리 국립도서관 문서고를 드나들며 ‘아케이드 작업’ 집필에 매진했다.
한길사 제공
한길사 제공
일생의 대부분을 읽고 쓰기에 몰두했던 그는 문학과 비평, 매체학과 미학, 철학과 정치이론, 도시분석과 자본주의 비판, 문화학, 신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풍부한 논의를 담은 탁월한 글을 남겼다. 학자도, 번역가도, 신학자도, 시인도, 철학자도 그 무엇도 아니었지만 무엇이든 될 수 있었던 고독한 지식인의 비극적인 삶과 사유 방식은 많은 후대 지식인들의 지적인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주제였다.
독문학자 문광훈 충북대 교수는 6년간의 사색과 모색 끝에 발터 벤야민에 대한 본격 연구서 ‘가면들의 병기창’을 내놓았다. 벤야민이 남긴 네 권의 저서와 500편이 넘는 논문과 논설, 서평, 소책자, 정치적 선전문구, 플래카드, 포스터 등을 모두 찾아 읽으며 이 ‘잡다한 무더기’ 속에서 그의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짚었다. 그리고 벤야민의 사유와 통찰 중에서 어떤 것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여전히 유효한지를 검토했다. 단순한 독해를 넘어 오늘의 상황, 즉 한국의 문학적·문화적 지형에 맞는 새로운 벤야민론을 재구성해 보기 위한 시도다.
저자는 “벤야민의 저작이 주는 충격은 다채롭고, 그 논의에는 이견의 여지가 많으며, 그 사유법은 복잡하면서도 급진적이다. 그것은 매우 인화성이 높은 취급 주의 저작물”이라며 글을 시작한다.
이런 특성은 벤야민의 독특한 사유 방법에서 나온다. 벤야민의 사유는 예술과 비평, 작품과 매체, 원전과 번역, 정치와 희망, 법과 정의, 역사와 구원, 전통과 아방가르드, 폭력과 화해처럼 이율배반적 축 사이에서 움직이되 낯선 것들의 상호대립적 길항작용에서 나오는 생산적 에너지에 집중한다. 그러면서 “더 진실하고 더 선하며 더 아름다운 것”으로 향해 나간다.
저자는 “그가 고민한 문제는 세속적인가 아니면 신성한 것인가, 역사인가 아니면 신인가와 같은 양자택일적 선택이 아니라 세속적인 현실에서의 구원가능성이었다”고 설명한다. 벤야민은 미리 주어진 신념이나 가치를 무조건 따르지 않고 지속적인 질문을 제기하는 가운데 여러 원칙과 명제를 서로 떼어내 다시 잇고 다시 와해시킨다. 따라서 그의 텍스트는 복잡한 구조나 다양한 주제의식, 이질적인 입장들 간의 균형 속에서 자기 관점을 드러낸다.
저자는 “벤야민의 사유방법은 해체구성의 변증법이고, 그 내용은 좀 더 공정한 세계, 즉 억압과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세계이며 그 목표는 행복일 것”이라며 “(벤야민이 그랬듯이) 문화적으로 축적된 모든 것은 오늘의 관점에서 부단히 검증되어야 하고, 이 검증 속에서 늘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책의 제목은 벤야민의 문제의식을 한마디로 압축하는 표현으로 벤야민 사후 10년 만에 출간된 ‘베를린의 어린시절’에 실린 글에서 따왔다. 가면은 예술에 대한 비유다. 벤야민의 사유공간은 세상과 대결하기 위해 예술이라는 무기를 벼린 곳이고, 그의 글들은 예술의 저항적 가능성을 탐색한 병기창인 셈이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1-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