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사이, 그 골목에 선 시인

삶의 사이, 그 골목에 선 시인

입력 2014-12-18 00:00
업데이트 2014-12-18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덕규 두 번째 시집 ‘골목을 나는 나비’

‘사람들 사이에/사이가 있었다 그/사이에 있고 싶었다//양편에서 돌이 날아왔다//나는 쌱 피했다/뒤축을 자갈밭에 묻고//시궁창에 코를 처박고.’(사이·2)

이미지 확대
박덕규 시인
박덕규 시인
박덕규(56) 시인이 30년 만에 ‘사이’ 후속편을 냈다. 두 번째 시집 ‘골목을 나는 나비’(서정시학)에 수록돼 있다. 그는 1984년 첫 시집 ‘아름다운 사냥’에서 정현종 시인의 ‘섬’을 패러디한 시 ‘사이’로 문단 안팎의 큰 관심을 모았다.

이미지 확대
시인은 새 시집에서 ‘사이’ 속으로 더 깊숙이 파고들어 갔다. 사이 속에 있는 ‘골목’에 천착했다. 그는 “사이가 인생이라면 골목은 삶의 실질적인 공간이자 축소판”이라며 “골목 안에서 크고 작은 모든 일이 다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길을 비켜 달리는 자전거 소리/채소 팔러 온 리어카/몰려다니는 동네 아이들/시장 갔다 오는 아낙네’(골목을 나는 나비)도 있고 ‘거기서 사람이 나오고’(골목·1) ‘떨어져 있지만 멀어질 수 없는 사이’(골목·2)가 형성되기도 한다.

시인은 지금도 골목에 머물러 있다. ‘나도 나비를 따라 대문 밖으로 나간다./긴 골목길을 따라가고 있다.//모퉁이를 돌아도 골목길이다.//(중략) 모퉁이를 돌아/나비가 날고/골목이 날고/나도 난다.//큰길은 안 보이고/골목길이다.’(골목을 나는 나비) “어릴 때 긴 골목의 맨 안쪽 집에 살아 세상 구경을 하려면 골목길을 빠져나와야 했다. 인생살이가 아직 큰 세상은 만나지 못한 채 어릴 적 그 골목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것 같다. 아직도 뭔가를 추구하지만 그 무언가를 찾지 못해 방황하고 있는 듯하다.”

시인은 1980년 ‘시운동’ 창간호에 시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했다. 1982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되면서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첫 시집 발표 이후 소설에 대한 열망이 커 그간 썼던 시를 버리고 소설가의 길로 접어들었다.

전체 5부로 구성된 이번 시집에서 4부에 수록된 11편만이 소설로 전향하기 전에 썼던 시들 가운데 남은 작품들이다. “첫 시집 이후 한 권 분량의 시를 썼지만 소설로 장르를 바꾸면서 모두 버렸다. 소설에 매진하기 위해서였다. 나이가 드니 이제는 시니 소설이니 가릴 이유가 없어졌다. 시간이 되고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내 몸에서 나오는 대로 내가 쓸 수 있는 모든 걸 쓰려 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2-18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