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의 세계사/비자이 프라샤드 지음/박소현 옮김/뿌리와 이파리/508쪽/2만 5000원
냉전 시대의 또 다른 축이었던 제3세계는 공산주의 진영의 붕괴로 구분 자체의 의미가 희미해져 갔다. 세계화에 자리를 내주면서 지금은 사라진 얘기가 됐다. 그러나 인도 출신의 역사학자 비자이 프라샤드는 제3세계를 부정하는 것은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재발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프리샤드는 이 책을 통해 1920년대 브뤼셀부터 1980년대 메카까지 훑어 가며 제3세계 운동의 풍요로운 역사를 들여다본다.
제3세계의 시작은 1927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첫 반제국주의연맹회의였다. 남아프리카, 알제리, 인도네시아, 인도, 이란 등지에서 브뤼셀 회의에 온 대표들은 공산당과 사회주의 정당뿐 아니라 급진적 민족주의 운동에 속해 있었고 서로의 문제의식을 공유했다. 그들에게 가장 중요했던 것은 자치권이었다. 당시 인도국민회의 대표로 이 회의에 참석했던 네루는 훗날 자서전에서 브뤼셀 회의가 “식민지와 속국이 당면한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브뤼셀 반제국주의연맹회의의 흐름은 훗날 제3세계 운동의 결정적인 모멘텀이 된 1955년 반둥회의로 이어진다. 2차 대전 후 양 거대 진영 사이에 내팽개쳐진 갈색 나라들은 ‘제3세계’라는 이름 아래 집결했다. 식민지 지배와 토착 봉건제의 모순을 동시에 극복하려 했던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29개 신생국 지도자들은 인도네시아 반둥에 모여 식민주의의 종언을 축하하고 제국주의 세력에 맞서 함께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의 열망은 ‘제3세계’라는 정치적 프로젝트로 드러나 한 시대를 뜨겁게 달궜다. 그들은 무엇보다 인간적 존엄성을 갈망했고, 삶의 필수재인 토지, 평화, 자유를 염원했다. 불만과 열망을 다양한 형태의 조직으로 모아냈고 각 민족의 지도자들은 이 조직들을 통해 요구 사항을 수렴할 발판을 마련했다.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가나의 크와메 은크루마,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 같은 지도자들은 그 시절 10여년에 걸쳐 여러 회의에서 수차례 조우했다. 반둥회의에 이어 1961년 카이로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회의와 베오그라드에서 시작된 비동맹운동, 아바나에서 열린 삼대륙회의 등에서 만난 민족지도자들은 인민의 희망을 담아낼 사상과 일련의 기구를 만들어 갔다. 저자는 “‘제3세계’란 이러한 희망과 그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들을 아우르는 프로젝트였다”며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간 멸시당하고 착취당해 온 제3세계가 운명의 주인이 돼 자신의 운명을 바꾸겠다고 나섰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한다.
제3세계의 흥망을 추적한 책은 그동안 진행됐던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활력으로 넘쳤던 궤적과 사상들을 발굴하고 각 시대의 풍요로운 역사를 조명하는 동시에 실패한 역사의 원인도 날서게 지적한다. 1980년대에 이르러 ‘제3 세계’는 실패한 국가, 기근, 빈곤, 절망의 동의어로 쓰였고, 결국은 부채 위기와 제1세계의 세계적 재편성 정책에 의해 사라지고 만다. “투쟁의 열기로 만들어진 신생국들은 사회 관계를 효과적으로 재조직하지도, 남겨진 식민지형 국가 구조를 분쇄하지도 못했다. 신생국들은 구사회 계급과 손잡고 식민지 관료제 구조를 받아들이며 제3세계 의제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렸다.”
서구가 제3세계 운동을 체계적으로 파괴했다는 주장과 달리 몰락의 원인을 내부의 모순에서 찾아낸 저자는 토지와 물에 대한 권리, 문화적 자긍심과 경제적 동등함, 여성과 원주민의 권리 등 지역의 경계를 넘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대중운동이 포스트 제3세계 운동의 의제가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제3세계의 역사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이었던 반둥회의가 열린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에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냉전 시대의 또 다른 축이었던 제3세계는 공산주의 진영의 붕괴로 구분 자체의 의미가 희미해져 갔다. 세계화에 자리를 내주면서 지금은 사라진 얘기가 됐다. 그러나 인도 출신의 역사학자 비자이 프라샤드는 제3세계를 부정하는 것은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재발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프리샤드는 이 책을 통해 1920년대 브뤼셀부터 1980년대 메카까지 훑어 가며 제3세계 운동의 풍요로운 역사를 들여다본다.
1954년 알렉산드리아에서 군중의 환영을 받는 카말 나세르.
뿌리와 이파리 제공
뿌리와 이파리 제공
1960년 유엔총회에 참석한 피델 카스트로.
뿌리와 이파리 제공
뿌리와 이파리 제공
지난 4월 22~24일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제60차 반둥회의에 참석한 아시아·아프리카 정상들이 반둥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이들은 1955년 처음 열린 반둥회의 60주년을 기념하며 독립, 자주, 비동맹, 제3세계 협력 등 반둥회의 정신을 기렸다.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브뤼셀 반제국주의연맹회의의 흐름은 훗날 제3세계 운동의 결정적인 모멘텀이 된 1955년 반둥회의로 이어진다. 2차 대전 후 양 거대 진영 사이에 내팽개쳐진 갈색 나라들은 ‘제3세계’라는 이름 아래 집결했다. 식민지 지배와 토착 봉건제의 모순을 동시에 극복하려 했던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29개 신생국 지도자들은 인도네시아 반둥에 모여 식민주의의 종언을 축하하고 제국주의 세력에 맞서 함께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의 열망은 ‘제3세계’라는 정치적 프로젝트로 드러나 한 시대를 뜨겁게 달궜다. 그들은 무엇보다 인간적 존엄성을 갈망했고, 삶의 필수재인 토지, 평화, 자유를 염원했다. 불만과 열망을 다양한 형태의 조직으로 모아냈고 각 민족의 지도자들은 이 조직들을 통해 요구 사항을 수렴할 발판을 마련했다.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가나의 크와메 은크루마,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 같은 지도자들은 그 시절 10여년에 걸쳐 여러 회의에서 수차례 조우했다. 반둥회의에 이어 1961년 카이로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회의와 베오그라드에서 시작된 비동맹운동, 아바나에서 열린 삼대륙회의 등에서 만난 민족지도자들은 인민의 희망을 담아낼 사상과 일련의 기구를 만들어 갔다. 저자는 “‘제3세계’란 이러한 희망과 그 희망을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들을 아우르는 프로젝트였다”며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간 멸시당하고 착취당해 온 제3세계가 운명의 주인이 돼 자신의 운명을 바꾸겠다고 나섰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한다.
제3세계의 흥망을 추적한 책은 그동안 진행됐던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활력으로 넘쳤던 궤적과 사상들을 발굴하고 각 시대의 풍요로운 역사를 조명하는 동시에 실패한 역사의 원인도 날서게 지적한다. 1980년대에 이르러 ‘제3 세계’는 실패한 국가, 기근, 빈곤, 절망의 동의어로 쓰였고, 결국은 부채 위기와 제1세계의 세계적 재편성 정책에 의해 사라지고 만다. “투쟁의 열기로 만들어진 신생국들은 사회 관계를 효과적으로 재조직하지도, 남겨진 식민지형 국가 구조를 분쇄하지도 못했다. 신생국들은 구사회 계급과 손잡고 식민지 관료제 구조를 받아들이며 제3세계 의제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렸다.”
서구가 제3세계 운동을 체계적으로 파괴했다는 주장과 달리 몰락의 원인을 내부의 모순에서 찾아낸 저자는 토지와 물에 대한 권리, 문화적 자긍심과 경제적 동등함, 여성과 원주민의 권리 등 지역의 경계를 넘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대중운동이 포스트 제3세계 운동의 의제가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제3세계의 역사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이었던 반둥회의가 열린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에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9-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