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한국 고대사 700년 부여의 모든 것

잊혀진 한국 고대사 700년 부여의 모든 것

박록삼 기자
입력 2015-09-25 22:34
수정 2015-09-25 2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처음 읽는 부여사/송호정 지음/사계절출판사/256쪽/1만 8000원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494년 왕과 일족이 고구려로 망명, 항복할 때까지 700년의 시간을 관통하며 버텨낸 나라다. ‘사출도’(四出道)라는 제도로 중앙과 지방의 분권을 유지했다. 높은 수준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보유해 선조 이래 다른 나라에 패한 적이 없는 연맹체 나라였다. 우리 고대사의 잊혀진 조각, 부여다.

부여의 역사가 일반인의 인식에서 희미해진 것은 여러 요인이 있다. 멀리는 김부식의 ‘삼국사기’부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그리고 최근 역사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부여의 존재와 강역, 국가의 구성, 의미 등은 중히 다뤄지지 않았다.

물론, 중간중간 의미 있는 연구 작업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특히 신채호는 ‘조선상고문화사’ 등에서 ‘부여족 주족론’(主族論)을 내세우며 부여사가 북방 중심 고대사 인식 체계에서 주요한 왕조의 역사로 자리잡게 만든 공이 크다. 지금이야 부정적인 의미로 더욱 많이 통용되지만 일제강점기 상황에서 신채호는 ‘국수(國粹) 보전론’을 주창했고, 주체적 역사의식의 필요성은 부여·가야·발해의 재조명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부여사에 대한 연구의 발걸음은 거기에서 성큼성큼 나아가지 못했다.

그사이 중국은 동북공정, 그리고 최근에는 ‘랴오허(遼河) 문명론’을 통해 끊임없이 역사전쟁의 정지작업을 이어왔고, 선양 랴오닝성박물관 부여전시장에 ‘부여는 중국 역사상 중요한 소수민족이다’로 시작하는 설명 자료를 붙여 놓았다. 그나마 최근 들어 옛 부여 강역 곳곳에서 발굴이 진행되면서 학계 일부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와 더불어 부여, 가야를 포함시키는 ‘5국 시대’ 제안이 나오는 등 다시 부여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다행스럽다.

‘국내 고조선 박사 1호’라는 별칭으로도 통하는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인 저자는 한국 고대사를 제대로 복원하려면 고조선사와 고구려사만큼 부여사도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구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부여가 한국 고대사의 전개에 끼친 영향과 유산이 지대한 만큼 부여를 중국의 역사가 아닌, 예맥족이 세운 한국 고대의 역사로 제자리를 찾아줘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형해화한 주장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정확한 사료와 발굴 자료를 통해 실증해야 한다’는 신념을 내세운다. 그리고 부여의 기원과 성쇠, 제도, 생활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 저서를 부여사에 관해 가장 객관적이고 충실한 연구라고 자부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9-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