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출어람의 시작… 제자의 ‘창조적 배신’

청출어람의 시작… 제자의 ‘창조적 배신’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5-09-25 16:44
수정 2015-09-25 2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승을 죽인 제자들/정명섭 지음/알에이치코리아/296쪽/1만 5000원

지식의 진보와 문명의 발달은 수많은 사제 지간을 통해서 이뤄졌다. 제자는 스승을 존경하거나 혹은 증오하면서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세계와 가치관을 완성해 나간다. 스승과 제자 간 숙명과도 같은 이러한 갈등과 도전, 충돌, 파괴의 힘으로 역사의 수레바퀴는 굴러왔다.

이미지 확대
제자가 스승을 뛰어넘는다는 뜻의 청출어람이라는 말 자체에는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행위가 배신의 가능성을 내포함과 동시에 필연적으로 새로움의 탄생과 구물의 사라짐을 예고한다. 스승은 자신의 평생의 깨달음과 지식, 경험을 제자에게 전수하면서 언젠가 제자가 배신할 것을 예감하고 기꺼이 본인 자신으로 상징되는 기존의 세상을 부숴 주기를 기대한다.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흡수하지만 서서히 스승 너머의 세상을 바라보고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기를 꿈꾼다. 보통의 인간관계 관점에서 보면 배신자로 불리겠지만 창조의 세계에서는 개척자, 선구자로 기록된다.

책은 총 10개의 사례를 통해 스승과 제자 간 창조적 배신의 역사를 되짚는다. 정도전은 스승인 이색에게서 성리학을 배웠다. 하지만 그는 스승이 보지 못했던 모순을 봤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길을 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색과 반목한 정도전에게 스승을 배반했다는 비난이 쏟아졌지만 결국 고려를 지키려고 했던 스승 밑에서 조선을 세운 인물이 나왔다. 예술계에도 비슷한 예가 있다. 우륵의 제자인 계고는 스승이 갖고 있던 가야금에서 가야의 색깔을 빼고 신라의 색깔을 집어넣었다. 덕분에 가야금은 가야와 신라가 멸망한 뒤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저자는 “세상의 흐름을 읽기 위해서는 반드시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승과 제자 간의 치열한 삶 속에 세상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힘과 원칙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5-09-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