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락 엮어 책 펴낸 허균 등 조리법 공유·요리 즐긴 선비들 고기·별식·디저트 이야기
요리하는 조선 남자/이한 지음/청아출판사/320쪽/1만 5000원이른바 ‘먹방’의 시대다. 먹는 일에 동서와 고금이 다르지 않을 터. 유교적 가치에 충실했던 조선의 남자들은 어땠을까. 요즘처럼 우르르 몰려다니며 맛집을 탐방하고 직접 요리까지 했을까. 조선 후기 이덕무는 “요리는 부인의 일”이라고 단언했으나, 왕실에서 요리를 담당했던 숙수들은 모두 남자였고 반가나 민가에서도 요리하는 남자들도 없지 않았다. 일부 실학자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직접 요리하고, 레시피를 공유하고, 농사짓는 수고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새 책 ‘요리하는 조선 남자’는 이처럼 맛에 탐닉한 조선 남자들의 기록을 토대로 당대를 휩쓸었던 맛의 세계를 살피고 있다. 책 제목처럼 요리를 즐긴 인물 중심의 얼개라기보다 당대의 음식 소개에 좀 더 방점이 찍혀 있다.
고려 말의 충신이자 조선에 성리학을 들여온 이색도 고려의 먹거리에 대해 수많은 자료를 남겼다. 워낙 식탐이 심했던 그는 이를 뽑은 뒤 맛있는 걸 먹기 힘들어졌다며 슬퍼하기도 했다. 여섯 임금을 섬긴 서거정은 게장이라면 눈이 뒤집어졌고, 박제가는 한자리에서 냉면 세 그릇, 만두 100개를 먹는 대식가로 오해받기도 했다.
요리하는 걸 즐긴 이들도 있다. 태조의 끼니를 책임졌던 이인수는 벼슬이 상의중추원사까지 올랐고, 이팽수는 권신 김안로에게 개고기 요리를 바쳐 벼슬을 얻기도 했다. 땅속에서 키운 채소로 반찬을 만들어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던 이충의 이야기도 재밌다.
책은 조선 사람들의 주요 먹거리를 세 장으로 나눠 펼쳐 낸다. 1장은 ‘고기’ 편이다. 닭고기, 소고기, 생선회부터 지금은 혐오식품이 된 개고기까지, 당대의 고기에 대한 인식과 각종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 2장 ‘별식’에서는 간장게장, 상추쌈, 냉면, 떡국, 만두 등 입맛이 없거나 특별한 때 먹었던 음식들을 만난다. 다양한 음식의 기원과 이를 즐겼던 선인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3장은 ‘장과 디저트’다. 당시 맛의 지도를 바꾼 고추장부터 간식으로 선호됐던 참외와 인절미에 담긴 여러 이야기를 재구성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1-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