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집 블로거 허균… 냉면 마니아 박제가… 조선의 먹방 원조들

맛집 블로거 허균… 냉면 마니아 박제가… 조선의 먹방 원조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11-27 17:38
수정 2015-11-27 1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도락 엮어 책 펴낸 허균 등 조리법 공유·요리 즐긴 선비들 고기·별식·디저트 이야기

요리하는 조선 남자/이한 지음/청아출판사/32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이른바 ‘먹방’의 시대다. 먹는 일에 동서와 고금이 다르지 않을 터. 유교적 가치에 충실했던 조선의 남자들은 어땠을까. 요즘처럼 우르르 몰려다니며 맛집을 탐방하고 직접 요리까지 했을까. 조선 후기 이덕무는 “요리는 부인의 일”이라고 단언했으나, 왕실에서 요리를 담당했던 숙수들은 모두 남자였고 반가나 민가에서도 요리하는 남자들도 없지 않았다. 일부 실학자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직접 요리하고, 레시피를 공유하고, 농사짓는 수고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새 책 ‘요리하는 조선 남자’는 이처럼 맛에 탐닉한 조선 남자들의 기록을 토대로 당대를 휩쓸었던 맛의 세계를 살피고 있다. 책 제목처럼 요리를 즐긴 인물 중심의 얼개라기보다 당대의 음식 소개에 좀 더 방점이 찍혀 있다.

이름난 옛사람들 가운데 식도락을 즐긴 이는 무척 많다. 허균이 대표적이다. 아버지 덕에 일찍 식도락에 눈뜨고 잘사는 처가 덕에 맛의 호사를 누린 그는 귀양 갈 때도 맛있는 음식이 있는 고을을 부러 찾아서 갔다고 한다. 귀양 살며 식생활을 즐기지 못하게 되자 예전에 먹었던 먹거리들을 책으로 정리했는데, 그게 바로 조선의 식도락 리스트 ‘도문대작’이다.

고려 말의 충신이자 조선에 성리학을 들여온 이색도 고려의 먹거리에 대해 수많은 자료를 남겼다. 워낙 식탐이 심했던 그는 이를 뽑은 뒤 맛있는 걸 먹기 힘들어졌다며 슬퍼하기도 했다. 여섯 임금을 섬긴 서거정은 게장이라면 눈이 뒤집어졌고, 박제가는 한자리에서 냉면 세 그릇, 만두 100개를 먹는 대식가로 오해받기도 했다.

요리하는 걸 즐긴 이들도 있다. 태조의 끼니를 책임졌던 이인수는 벼슬이 상의중추원사까지 올랐고, 이팽수는 권신 김안로에게 개고기 요리를 바쳐 벼슬을 얻기도 했다. 땅속에서 키운 채소로 반찬을 만들어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던 이충의 이야기도 재밌다.

책은 조선 사람들의 주요 먹거리를 세 장으로 나눠 펼쳐 낸다. 1장은 ‘고기’ 편이다. 닭고기, 소고기, 생선회부터 지금은 혐오식품이 된 개고기까지, 당대의 고기에 대한 인식과 각종 조리법을 소개하고 있다. 2장 ‘별식’에서는 간장게장, 상추쌈, 냉면, 떡국, 만두 등 입맛이 없거나 특별한 때 먹었던 음식들을 만난다. 다양한 음식의 기원과 이를 즐겼던 선인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3장은 ‘장과 디저트’다. 당시 맛의 지도를 바꾼 고추장부터 간식으로 선호됐던 참외와 인절미에 담긴 여러 이야기를 재구성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1-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