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호 괴테 탄생시킨 ‘말 없는 창작자’의 정체

대문호 괴테 탄생시킨 ‘말 없는 창작자’의 정체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01-13 17:32
수정 2017-01-13 1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종이/로타어 뮐러 지음/박병화 옮김/알마/448쪽/2만 2000원

아침에 펼쳐든 신문, 점심을 먹고 신용카드 결제 후 받은 영수증, 퇴근길 우연히 본 벽에 붙은 광고 전단지, 잠들기 전 손에 쥔 한 권의 책. 공통점은 뭘까. 크기, 형태, 용도는 모두 제각각이지만 모두 종이로 만들어졌다는 것. 하루에도 몇 번씩 만나게 되는 종이를 특별하게 생각한 적은 별로 없을 것이다. 유럽의 저명한 문예비평가인 저자가 들려주는 종이에 담긴 역사적 풍경을 마주한다면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미지 확대
자칫 하찮아 보일 수도 있는 종이는 다름아닌 ‘권력’이다. ‘종이의 왕’이라고 불린 스페인 펠리페 2세는 평생 서면 보고를 선호했다. 그는 신하와 접견할 때도 문서를 휴대했는데 발언 중에 자신이 자료를 손에 들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함이었다.

이 행위 자체가 상대에게 자신이 해당 안건에 대해 많이 안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종이 왕의 왕국에서는 권력자의 귀보다 눈에 접근하는 사람에게 권력의 기회가 주어졌다.

때로 종이는 ‘말 없는 창작자’이기도 하다. 독일의 대문호 괴테는 ‘파우스트’ 진행 과정을 묻는 비서 요한 페터 에커만에게 “전체적인 양을 가늠해 보려고 2부 원고를 가철하도록 했어. 아직 쓰지 못한 4막이 들어갈 자리는 백지로 채우라고 했지. 그러면 완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자극을 줄 것 아니겠나. 감각을 자극하는 대상을 보면 의외로 많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네”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눈앞에 있는 하얀 종이가 정신 활동에 도움을 준다고 여겼다. 창작자의 글이 담기는 종이가 말없이 그의 생산을 독려한 셈이다.

또 “인간의 정신은 본래 백지 상태”라고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가 주장했듯 종이는 ‘삶의 그릇’과 같다. 텅 비어 있는 종이에 무슨 글자를 쓰느냐에 따라 설교 원고, 연애 편지, 혼인증명서, 이혼판결문, 출생신고서, 사형선고서 등 제각각 다른 모습을 띠는 것처럼 사람 역시 각자 자신만의 방법으로 인생을 채우지 않는가.

저자는 고대부터 중세와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종이의 역사를 상세하게 추적하고, 전달·보존 매체로서 종이가 가진 역할 외에 당대 사회 문화와 상호 작용하면서 보여 준 ‘하얀 마법’에 대해 설파한다. 특히 인터넷과 디지털 문화가 인간의 일상을 지배하는 오늘날 종이가 미디어의 주도적 역할에서는 밀려났지만 여전히 인간과 뗄 수 없는 삶의 동반자라고 주장하는 저자의 시선이 흥미롭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1-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