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탄생/알렉산더 데만트 지음/이덕임 옮김/북라이프/728쪽/3만 2000원
‘시간’은 고대의 유산이다. 우리가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고 주와 요일, 한 달로 셈하는 방식부터 각 절기와 영원이라는 개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그리스 로마 시대라는 고대에 결정된 것이다.
신간 ‘시간의 탄생’의 저자인 독일 역사학자 알렉산더 데만트가 고대 문화에 많은 공간을 할애하고, ‘현재의 우리’가 얼마나 고대에 큰 빚을 지고 있는지 환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BC 3000년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시간을 통제한 건 종교였다. 1517년 종교 개혁의 깃발을 든 마틴 루터가 “달력이 전 세계를 지배한다”고 한 말은 부활절과 크리스마스 등 주요 종교 행사를 한 날짜로 정하는 공통된 달력이 필요했던 종교 권력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고대인들에게 시간은 하루의 시작이었다. 문제는 언제부터 하루가 시작된다고 할 것인가인데 간단한 문제는 아니었다. 일출을 하루의 시작으로 여기는 것과 해가 완전히 떠오른 시간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 첫 여명이 비칠 때로 하자는 의견 등이 혼재됐다. 이렇게 하루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이른’, ‘늦은’과 같은 시간을 구분하는 부사가 출현했고,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하루를 열두 조각으로 절개해 구획 짓는 방식으로 진화됐다.
문화권마다 제각각이었던 ‘새해 첫날’은 1700년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가 1월 1일로 공표하고, 영국이 1752년 현재의 역법인 그레고리력을 수용하면서 새해는 1월 1일 시작된다는 관념이 자리 잡았다.
지금처럼 고대와 중세, 근대로 구분하는 방식은 1680년대 독일 학자 크리스토프 켈라리우스가 규정하면서 표준이 됐다. 근대는 콜럼버스와 루터에서 시작된 당시에는 ‘우리 시대’였지만 점점 그 시기가 길어지면서 1945년 이후를 ‘현대’로 규정하게 된다. 비평가들은 당대를 ‘탐욕의 시대’, ‘불의의 시대’, ‘절망의 시대’, ‘어둠의 시대’ 등 문학적 수사를 동원해 정의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이 자신이 책임져야 할 잘못을 시대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비난이 고대에서도 존재했다는 저자의 설명에 웃음이 터진다.
유럽 역사학계의 석학인 저자가 광대하고 파란만장한 ‘시간’의 문화사를 역사 밑바닥에서부터 길어 올린 솜씨는 탁월하다. 저자가 서구의 종교, 문학, 철학, 예술을 넘나들며 시간과 인류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통찰하며 미래와 시간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선사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신간 ‘시간의 탄생’의 저자인 독일 역사학자 알렉산더 데만트가 고대 문화에 많은 공간을 할애하고, ‘현재의 우리’가 얼마나 고대에 큰 빚을 지고 있는지 환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BC 3000년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시간을 통제한 건 종교였다. 1517년 종교 개혁의 깃발을 든 마틴 루터가 “달력이 전 세계를 지배한다”고 한 말은 부활절과 크리스마스 등 주요 종교 행사를 한 날짜로 정하는 공통된 달력이 필요했던 종교 권력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고대인들에게 시간은 하루의 시작이었다. 문제는 언제부터 하루가 시작된다고 할 것인가인데 간단한 문제는 아니었다. 일출을 하루의 시작으로 여기는 것과 해가 완전히 떠오른 시간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 첫 여명이 비칠 때로 하자는 의견 등이 혼재됐다. 이렇게 하루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이른’, ‘늦은’과 같은 시간을 구분하는 부사가 출현했고,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하루를 열두 조각으로 절개해 구획 짓는 방식으로 진화됐다.
문화권마다 제각각이었던 ‘새해 첫날’은 1700년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가 1월 1일로 공표하고, 영국이 1752년 현재의 역법인 그레고리력을 수용하면서 새해는 1월 1일 시작된다는 관념이 자리 잡았다.
지금처럼 고대와 중세, 근대로 구분하는 방식은 1680년대 독일 학자 크리스토프 켈라리우스가 규정하면서 표준이 됐다. 근대는 콜럼버스와 루터에서 시작된 당시에는 ‘우리 시대’였지만 점점 그 시기가 길어지면서 1945년 이후를 ‘현대’로 규정하게 된다. 비평가들은 당대를 ‘탐욕의 시대’, ‘불의의 시대’, ‘절망의 시대’, ‘어둠의 시대’ 등 문학적 수사를 동원해 정의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이 자신이 책임져야 할 잘못을 시대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비난이 고대에서도 존재했다는 저자의 설명에 웃음이 터진다.
유럽 역사학계의 석학인 저자가 광대하고 파란만장한 ‘시간’의 문화사를 역사 밑바닥에서부터 길어 올린 솜씨는 탁월하다. 저자가 서구의 종교, 문학, 철학, 예술을 넘나들며 시간과 인류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통찰하며 미래와 시간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선사한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8-01-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