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항명 아닌 ‘정의로운 거부’…여순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다

軍 항명 아닌 ‘정의로운 거부’…여순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다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9-01-31 17:38
수정 2019-02-01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린 너무 몰랐다/도올 김용옥 지음/통나무/400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제주 4·3과 여순사건이 발발한 지 70년을 넘긴 지금 도올 김용옥은 여전히 편견에 싸인 채 진실이 묻혀 있는 이들 사건에 주목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자는 여순사건을 ‘여순민중항쟁’으로 명명하면서 해방 정국의 역사적 진실에 한발 더 다가간다.

제주 4·3은 특별법이 만들어져 진압 과정에서 무리한 국가폭력이 인정됐고 정부의 공식 사과와 기념일 제정까지 이뤄졌다. 반면 여순사건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조치도 없다.

책은 두 사건이 비슷한 시기에 별도로 일어난 사건이 아님을 지적한다. 여순사건은 현지 주둔 군부대가 제주 토벌 출동을 거부한 것으로 항명이 아닌 정의로운 거부였다고 강조한다.

여순사건을 민중항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오늘날 사람들에게 여순사건의 의의를 전하기 위해 저자는 해방 정국과 미군정 시기를 면밀히 탐색한다. 그에 앞서 개인적인 일화들을 풀어내며 독자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청주 ‘직지심경’을 통해 고려의 자주성을 재조명하는 것으로 본론에 앞선 준비 과정을 마친다.

해방 정국을 분석할 때는 여운형에 특히 주목한다. 책은 “해방이라는 공백 사태를 예견한 단 한 사람”으로 여운형을 지목하고 “좌우 편향 없는 포괄적인 의식, 거시적이고 화해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품을 지닌 자이언트”로 표현한다.

미군정이 시작되기 전 1945년 그가 선포한 ‘조선인민공화국’(1948년 김일성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다름)이 미군정에 의해 불법단체로 규정된 것이 여순사건을 촉발한 바탕이라는 설명이 따른다.

저자의 역사 서술에는 인간의 상식적 감성이 담겼다는 특징이 있다. 책은 통탄의 마음으로 우리 현대사에 접근한다. 슬픈 역사의 극복은 역사에서 슬픔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슬픔을 드러내고 모두의 슬픈 역사로 공유할 때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9-02-01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