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기다리는 난자, 돌진하는 정자? 상호작용이 탄생의 시작!

[김초엽 작가의 과학을 펼치다] 기다리는 난자, 돌진하는 정자? 상호작용이 탄생의 시작!

입력 2019-08-01 23:16
수정 2019-08-02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탄생의 과학/최영은 지음/웅진지식하우스/216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는 모두 하나의 세포에서 출발했다. 수정 직후의 수정란은 맨눈으로 겨우 보일 만큼 작다. 이 작은 세포는 점점 커 가며 머리, 손가락, 발가락을 삐죽 내밀고 움직이다가 마침내 인간의 모습을 갖춘 채로 세상에 태어난다. 그런데 이 세포 덩어리가 어떻게 발달해 심장과 신경계를 갖추고 숨을 쉬기 시작할까? 이렇게 최초의 세포가 한 개체가 돼 가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 ‘발생학’이다.

‘탄생의 과학’은 발생학이라는 낯선 학문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풀어 설명한다. 미국 조지타운대에서 생물학을 가르치는 최영은 교수가 ‘과학동아’에 연재했던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를 한 권의 책으로 묶어 냈다. 저자는 인간의 탄생을 ‘신비롭고 경이롭다’고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대신 정교한 과학의 언어로 설명하고자 한다. 생명을 단지 놀라운 기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자는 이야기다.

시작은 수정의 순간부터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정자와 난자의 만남’ 영상을 떠올려 보자. 생명의 신비를 강조하기 위해 웅장한 음악을 깔고 보여 주는 영상은 실제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 나팔관에서 가만히 정자를 기다리는 난자, 그리고 돌진하는 정자라는 도식은 이미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해 반박됐다. 난자와 정자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수정된 세포는 분열을 시작해 배아를 형성한다.

배아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에 비견될 배엽 형성을 거치는데, 이때 세포들의 위치에 따라 어떤 기관의 세포가 될지 운명이 결정된다. 세포들은 주변 세포들과의 ‘소통’을 통해 영향을 받고 특정한 세포로 분화한다. 유전자와 단백질, 세포와 세포들이 바쁘게 상호작용하며 만들어 내는 발생이라는 현상은 생명에 대한 우리의 다른 이해에도 영향을 미쳤다. 과학자들은 배아 안 세포로부터 출발해 줄기세포와 암을, 실험실에서 장기를 배양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탄생의 과학은 자연현상을 다룰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한 정치·사회적 논쟁과도 맞닿아 있다. 세포에서 시작한 발생학 강의는 현실의 임산부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성의 유동성으로, 줄기세포 치료와 생명 연구 윤리로 매끄럽게 확장된다. 우리가 지금 탄생의 과학을 살펴야 하는 이유다.

2019-08-02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