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에서 출발한 라면 ‘솔 푸드’가 되기까지

가난에서 출발한 라면 ‘솔 푸드’가 되기까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1-07 17:08
수정 2021-01-08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라면의 재발견/김정현·한종수 지음/따비/244쪽/1만 5000원

한국은 ‘라면 대국’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우리의 1인당 라면소비량은 약 76개로 압도적 1위다. 수년 동안 2위 자리의 변동은 있었어도 1위는 늘 한국의 몫이었다.

1958년 일본에서 개발된 라면이 우리나라로 넘어온 건 1963년이다. 이후 6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경제력과 위상, 국민의식 등 무엇 하나 당시와 같은 건 없지만, 라면에 대한 사랑만은 여전하다. 우리는 왜 이리 라면을 좋아할까. ‘라면의 재발견’은 라면을 통해 우리 사회와 문화를 비춰 본 비평서다. 가난의 음식에서 취향의 음식으로 변화해 온 라면의 진화 과정을 사회 변화상과 맞물려 짚어보고 있다.

라면이 처음 소개될 무렵엔 ‘제2의 쌀’ 대접을 받았다. 늘 부족했던 쌀의 빈자리를 효율적으로 채워 주는 대체재였다. 하지만 이런 이유만으로 라면이 한국인의 ‘솔 푸드’가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저자들은 그 이면에 “어디에도 없는 한국 라면만의 맛”과 “한국인만의 라면 먹는 법”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라면 맛의 본질은 매운맛의 빨간 국물이다. 매운 고추를 매운 고추장에 찍어 먹는 한국인의 정서가 그대로 담겼다. 먹는 방법도 독특하다. 더 정확히는 ‘다양한 변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변주를 이끄는 이들은 소비자들이다. 뿌셔뿌셔, 짜파구리 등은 제품명이기 이전에 소비자들이 입맛대로 변형하고 즐기면서 붙인 이름이었다.

라면의 사회학을 잘 대변하는 건 영화다. ‘우아한 세계’, ‘황해’, ‘내부자들’ 속 라면은 고난과 결핍이라는, 역사 속 라면 고유의 위상을 그려냈다. ‘봄날은 간다’에 나오는 “라면 먹고 갈래요?”란 대사는 상투적인 ‘작업 멘트’의 전복을 이끌었다. 변화된 라면의 위상이 잘 드러난 건 ‘기생충’이다. 이른바 ‘채끝등심 짜파구리’는 라면이 더이상 굶주림과 쌍을 이루는 단어가 아니란 걸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책 말미에 한국에 라면을 들여온 고 전중윤 삼양식품 명예회장의 일대기와 감바스 깻잎 라면 등 색다른 라면 레시피도 담겨 있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1-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