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강요 시대, 당신이 얻는 건…

행복 강요 시대, 당신이 얻는 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6-10 20:36
업데이트 2021-06-11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피크라시/에바 일루즈·에드가르 카바나스 지음/이세진 옮김/청미/292쪽/1만 6500원

이미지 확대
행복을 강요하는 시대다.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무능력한 자신을 개조해 자기 계발에 힘쓰고, 온갖 어려움에 맞서 가열차게 버티라고 등을 떠민다. 그래야 행복해질 수 있다고 한다. 행복해지려면 피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말처럼 들린다. ‘자존감을 가지라’는 유명 강사의 유튜브를 시청하고 어느 종교인의 말처럼 ‘멈추면’, 행복이 보일까. 자신의 유튜브에 협찬받은 책을 소개하며 당신의 몇 달치 월급을 챙기는 그 강사에게, 서울이 한눈에 보이는 근사한 집과 스포츠카를 가진 ‘풀(full)소유’의 그 종교인에게, 당신은 과연 덜 노력하고 더 끈질기지 못해서 충고를 듣고 있는 것인가.

신간 ‘해피크라시’는 행복을 강요하는 ‘행복 산업’이 어떻게 우리 삶에 결착했는지 설명하고, 이런 산업의 선두에 선 행복 전도사들에게 우리가 돈만 갖다 바치는 신세라고 꼬집는다. 이 과정에서 당신이 얻은 것은 행복에 대한 강박관념뿐이라고 비판한다.

저자들은 행복의 개념이 우리 사회에 어떻게 스며들었는지 추적한다. 고대부터 인간의 행복을 정의하고 이를 추구하려는 많은 이론이 있었지만, 최근 행복의 개념은 1950년대 신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한 인본주의심리학과 적응심리학에서 싹을 틔웠다. 1980년대 자존감 운동을 거쳐 1990년대 말 미국에서 가장 큰 학회로 꼽히는 심리학회(APA)에서 비로소 과실을 맺었다. 긍정심리학의 하위 분류로 행복학이 탄생하고, 기업이 뒷돈을 내면서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그들이 내세우는 행복을 추구한 대표적인 인물은 영화 ‘행복을 찾아서’(2006)의 바탕이 된 크리스토퍼 가드너다. 직장에서 해고를 당했지만, 온갖 시련 속에서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 않고 주식중개인으로 당당히 성공한다.
이미지 확대
행복은 이데올로기화 과정을 거쳐 전 세계로 확대됐다. 우리를 ‘불행한 국민’으로 만들어 버린 ‘국가별 행복지수 순위´도 이 과정에서 생겨났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 가운데 35위로 꼴찌 수준이다. 경제 사정이나 사회문제, 전통, 가치관 등 여러 요소를 생략하고 그저 행복을 수치화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행복 산업은 부와 가난, 성공과 실패, 건강과 질병이 모두 개인의 책임이라는 기반에서 작동한다. 개인주의를 강조하면서 사회구조적 문제를 눈감게 하고, 문제의 원인을 개인의 결함으로 돌린다. 이런 배경 뒤에는 노동자를 부리는 기업들이 있었다. 노동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불확실성은 정부와 기업의 책임이 크지만, 노동자의 잘못이 돼 버린다. 영화 ‘인 디 에어’(2009)에서 해고를 통지하는 일을 하는 주인공 라이언 빙엄이 그 모델이다. 해고를 당한 노동자에게 사회나 회사의 부당함을 설명하는 대신 “당신이 지금까지 하고 싶었던 일을 할 기회가 찾아왔다. 가서 행복을 찾으라”고 설득하는 식이다.

행복에 대한 강박관념에 여전히 사로잡힌 독자라면 “그래서 어떻게 행복을 찾으라는 건데?”라고 질문할 법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저자들은 딱 여기까지만 안내한다. 행복과 행복 산업에 대해 우선 냉철하게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세상을 좀더 비판적으로 보는 일이 첫걸음이고, 자신만의 행복을 찾는 건 당신의 몫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6-1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