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법대로”… ‘절구통 수좌’ 법전 스님 열반

“부처님 법대로”… ‘절구통 수좌’ 법전 스님 열반

입력 2014-12-24 00:00
업데이트 2014-12-24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철 스님 등과 봉암사 결사

‘봉암사 결사’의 마지막 주인공이자 조계종 제11·12대 종정을 지낸 도림당 법전 대종사가 23일 오전 11시 25분 대구 도림사 무심당에서 입적했다. 법랍 73년, 세수 90세.

이미지 확대
법전 스님
법전 스님
전남 함평 태생인 법전 스님은 한국불교의 대표적 선승. 어린 시절 서당에 다니면서 한학을 공부했으며 ‘속가에 두면 단명할 팔자’라는 말을 들은 부모님 결정으로 열네 살 때 출가했다. 영광 불갑사에서 설제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 장성 백양사에서 만암 스님을 계사로 비구·보살계를 각각 수지했다. ‘타사시구자’(拖死屍句子·무엇이 너의 송장을 끌고 왔느냐)를 화두로 평생 정진 수행했으며 선방에 한 번 앉으면 구들장에 붙어 움직이지 않았다 해서 ‘절구통 수좌’로 통한다. 특히 1949년 성철·청담·자운 스님 등과 함께 ‘부처님 법대로 살아보자’는, 이른바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다. 이때 ‘탁발도 수행’이라며 자운 스님 등과 탁발을 다닌 것으로 전해진다.

법전 스님은 특히 성철 스님과의 인연이 아주 각별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1951년 통영 안정사 천제굴에서 성철 스님을 은법사로 모시고 정진하던 중 ‘도림’(道林) 법호를 받았다. 이후 경북 문경 대승사 묘적암에서 홀로 정진하던 중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한겨울 쌀 다섯 되로 밥을 지어 김치 단지 하나 두고 ‘내가 저 쌀이 다 떨어지기 전에 공부를 마치든가, 죽든가 둘 중 하나를 택하겠다’며 석 달간 목숨 건 수행을 했던 이야기는 유명하다. 성철 스님이 파계사 성전암에서 10년간 동구불출에 들 때 철조망 울타리를 친 주인공이며 인가도 성전암에서 성철 스님에게 받았다.

종단이 어렵던 1981년 중앙종회의장을 맡아 교단을 안정시켰고, 1982년 총무원장을 잠시 맡은 뒤 1985년부터 해인총림 수좌로 선원에 주석했다. 해인사 주지, 해인총림 방장, 원로회의 의장 등 종단 주요 소임을 두루 거쳤다. 2002년 3월 조계종 제11대 종정으로 추대된 이후에도 해인사 퇴설당에서 수행 정진을 계속했고 12대 종정까지 추대돼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어른 역할을 해왔다.영결식은 27일 오전 11시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대한불교 조계종단장으로 봉행된다. (055)934-3000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12-24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