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서울대교구, 선교사 활동비 등 지급
가톨릭 문화예술인 비대면 지원센터도 운영
![고 정진석 추기경.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1/SSI_20211021142945_O2.jpg)
서울신문 DB
![고 정진석 추기경.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21/SSI_20211021142945.jpg)
고 정진석 추기경.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선교 후원회 지도 사제로는 교구장 염수정 추기경, 이사장은 교구 대변인 허영엽 신부가 맡는다. 김해숙 영화배우, 서울신문 감사인 문무일 전 검찰총장, 손숙 배우, 신달자 시인, 안성기 배우,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이 이사로 활동한다.
후원회는 우선 동남아 지역에서 활동하는 평신도 선교사를 후원할 계획이다. 각 지역교회 대사관, 사제, 수도자 등에게서 추천받아 매년 12월 니콜라오 축일을 전후해 대상자로 선정된 선교사에게 활동비를 지급한다.
가톨릭 문화예술인들의 법조·의료·심리상담을 돕는 ‘가톨릭 문화예술인 비대면 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선교 후원회는 10여 년 전 원로배우 김지영(1938∼2017)씨의 성금 기탁이 불씨가 됐다. 생전 김씨는 당시 교구 홍보국장이었던 허영엽 신부를 찾아가 4000만원의 성금을 맡겼다. 김씨는 허 신부에게 “‘말과 행동을 할 때 항상 선교가 기준의 척도가 된다’는 정 추기경의 말씀에 큰 감동을 받았다”며 자신이 세상을 떠난 후 정 추기경의 선교 활동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허 신부는 김씨의 뜻을 정 추기경에게 전했는데, 정 추기경은 자신의 이름으로 단체를 만드는 것을 꺼리면서도 몇 가지 조건을 두고 단체 설립을 허락했다고 한다.
정 추기경은 자신의 사후에 활동을 시작하되 일정 기간만 활동할 것과 열악한 상황에서 열심히 선교하는 평신도에게 도움을 주고, 교구에는 절대 부담을 주지 말 것을 당부했다. 그는 선종을 앞두고 자신의 유산 중 5000만원을 사후 세워질 선교 후원회에 기부했다.
서울대교구는 정 추기경 선종 후인 지난 5월 후원회를 구성했고, 올해 12월부터 정 추기경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31년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