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야막고분 삼국시대 갑주 재현… 나주문화재硏, 제작과정 공개·전시

전남 야막고분 삼국시대 갑주 재현… 나주문화재硏, 제작과정 공개·전시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6-27 21:40
업데이트 2021-06-28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전남 고흥군 풍양면 야막고분에서 출토한 삼국시대 갑주(甲胄·갑옷과 투구) 제작 기술을 연구하면서 재현품을 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야막고분은 고흥만이 내려다보이는 구릉 정상에 놓인 곳으로, 2012년 발굴를 할 때 일본(왜)과 관련된 유물이 많이 나와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무덤 주인은 왜계(倭系) 인물이거나 왜와 밀접히 교류한 인물로 추정했다.

피장자 발치 쪽에선 5세기쯤 만든 것으로 보이는 갑주가 발견됐다. 몸통을 보호하는 갑옷인 판갑(板甲), 어깨를 보호하는 갑옷인 견갑(肩甲), 목과 가슴을 지키는 경갑(頸甲), 새 부리 모양의 투구 등이 함께 있었다.

연구소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과 함께 2㎜ 두께로 긴 철판과 삼각형 모양 철판을 만들고, 5번 옻칠을 했다. 철판에 구멍을 내고 가죽꾼으로 연결해 만든 갑옷 재현품은 무게가 4.4㎏, 투구는 1.6㎏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갑옷 주인이자 고흥 야막고분 피장자는 키가 약 160㎝인 성인 남성으로 짐작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유튜브에 제작 과정 촬영 영상을 공개하고, ‘삼국시대 갑옷과 투구 만들기 손수제작물 공모전’ 수상 학교 등에서 28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재현품을 전시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6-28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