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대접 바닥에 숨은 꽃무늬 CT로 찾았다

고려청자 대접 바닥에 숨은 꽃무늬 CT로 찾았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9-01-29 16:16
수정 2019-01-29 16: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국보 제115호 ‘청자 상감당초문 완’을 컴퓨터 단층 촬영한 결과 그릇의 바닥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던 꽃무늬가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보 제115호 ‘청자 상감당초문 완’을 컴퓨터 단층 촬영한 결과 그릇의 바닥에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던 꽃무늬가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보로 지정된 고려청자 대접에서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꽃무늬가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드러났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기획한 특별전 ‘대고려 918·2018 그 찬란한 도전’에 전시 중인 국보 제115호 ‘청자 상감당초문 완’을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분석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이 청자 그릇은 경기도 개풍군에 있는 고려 중기 문신 문공유(1088∼1159)의 무덤에서 출토됐다고 전해진다.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유물로 꼽힌다.

그릇의 높이는 6.2㎝로 안쪽에는 넝쿨무늬로 장식돼 있고 그릇 바깥쪽은 국화 문양이 새겨져있다.

CT 분석 결과 그릇 유약층의 두께는 내부가 0.53㎜, 외부는 0.40㎜이며 내부 바닥에는 유약이 고여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내부 바닥에서는 유약층에 가려 보이지 않는 꽃무늬 상감이 확인됐다.

박물관 관계자는 “그동안 이 꽃무늬는 존재를 추정만 했을 뿐 실체가 드러나지는 않았다”면서 “이번 조사는 비파괴 CT 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장인의 기술과 예술의 이면을 읽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