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훈 24일 대금 연주회
대(竹) 소리는 가슴에서 풍겨져 나온다고 했다. 청아하면서도 이따금 새어나오는 숨소리에 한국인만이 느낄 수 있는 한이 그대로 묻어난다.대 소리를 내는 대금은 중금과 소금과 함께 우리의 전통을 반영하는 고유의 목관악기다. 국가 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수조교 이광훈(44)이 선사하는 대금 한마당이 채비를 마쳤다. 24일 오후 7시 30분 서울 필동 남산국악당에서 펼쳐진다.


이광훈 명인
이씨는 이생강류 대금산조의 대통을 이어받은 후계자로 인간문화재 이생강(73) 선생의 아들이기도 하다.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 직접 대금을 배우며 두각을 나타냈다. 1992년에는 미국 뉴욕 카네기홀에서 대금 독주회를 갖기도 했다. 2001년 대통령상을 받은 데 이어 2008년 대금산조 전수조교로 지정됐다.
이번 공연에서는 이생강류 대금산조 독주와 우리나라 고유의 가락으로 외국에까지 소개된 이른바 본조 아리랑 등을 선보인다. ‘도라지타령’, ‘풍년가’, ‘진도 아리랑’ 등 대중성 있는 민요도 만날 수 있다.
이씨가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고민하기 위해 창단한 국악 퓨전그룹 ‘예성’(藝聲)도 함께한다. 옛 추억을 더듬을 수 있는 팝송 ‘서머 타임’, 동양가요 첨밀밀(甛蜜蜜) 등 동서를 뛰어넘는 다양한 장르를 선보일 예정이다. 무료. (02)762-5244.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11-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