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쾌·감성적 터치로 18년째 하모니 “서울에 그만 오라 할 때까지 오고파”

경쾌·감성적 터치로 18년째 하모니 “서울에 그만 오라 할 때까지 오고파”

입력 2012-09-14 00:00
수정 2012-09-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한공연 ‘10년 개근’ 유러피언 재즈 트리오

1988년 일본 재즈 시장을 공략할 유럽의 젊은 재즈 뮤지션을 찾고 있던 프로듀서 마코토 기마타는 네덜란드 피아니스트 카렐 보에리를 발견했다. 당시 그와 활동하던 프란스 판 호벤(49·베이스)·로이 다쿠스(48·드럼)와 함께 트리오를 결성, 데뷔 앨범 ‘노르웨이언 우드’를 발표했다. 유러피언재즈트리오(EJT)의 시작이다. 퓨전 재즈에 더 끌렸던 보에리가 데뷔 앨범을 발표한 뒤 팀을 탈퇴하면서 EJT는 늪에 빠졌다. 하지만 1995년 피아니스트 마크 판 룬(45)을 영입하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비틀스·아바의 팝 명곡부터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등 클래식 넘버들을 출렁거리는 스윙감과 경쾌하고 감성적인 터치로 들려주는 이들에게 한국과 일본 재즈팬들은 열광했다. 10년 연속 한국 공연을 위해 12일 내한한 이들을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순화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유러피언 재즈 트리오의 가장 큰 특징은 로맨티시즘이다. 일부에선 “카페 배경 음악”이라고 폄훼한다. 하지만 이들은 “스탠더드 재즈 트리오는 너무 많다. 클래식과 팝, 영화음악을 넘나들며 로맨틱한 재즈를 선보이는 게 우리의 특징”이라고 응수했다. 왼쪽부터 프란스 판 호벤, 마크 판 룬, 로이 다쿠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유러피언 재즈 트리오의 가장 큰 특징은 로맨티시즘이다. 일부에선 “카페 배경 음악”이라고 폄훼한다. 하지만 이들은 “스탠더드 재즈 트리오는 너무 많다. 클래식과 팝, 영화음악을 넘나들며 로맨틱한 재즈를 선보이는 게 우리의 특징”이라고 응수했다. 왼쪽부터 프란스 판 호벤, 마크 판 룬, 로이 다쿠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2003년 이후 해마다 한국 공연을 해 온 이들은 입국한 지 5시간쯤 지났을 뿐이지만 이미 적응을 끝낸 눈치다. 판 룬은 “유럽은 경기 불황으로 사람들도 도시도 침체했는데 서울은 활력이 넘친다. 벌써 날 자극한다.”며 웃었다. 장난꾸러기인 다쿠스는 “3명 모두 10년 전 처음 왔을 때와는 아내(혹은 여자 친구)가 다 바뀌었다.”며 너스레를 떨더니 “한국에서 계속 공연할 수 있다는 건 큰 영광”이라고 말했다. 판 호벤 역시 “한국에서 ‘이젠 됐어. 너희 그만 와도 좋겠어’라고 말하기 전까지는 계속 오고 싶다.”고 거들었다.

수많은 밴드가 이합집산을 거듭하는데 18년째 하모니를 맞추는 비결은 뭘까. 판 호벤과 다쿠스의 첫 만남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30년 인연이다. 다쿠스는 “판 호벤과는 대학 1학년 때부터 함께했다. 학교는 달랐지만 재즈 클럽에서 서로 존재를 알고 있었고, 얼굴도 모르는 상태에서 집으로 전화를 걸어 공연을 같이 해 보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아니스트를 물색하고 있을 때 디지 길레스피와 쳇 베이커의 매니저를 했던 클럽 사장이 판 룬과 해 보라고 권했다. 명성은 들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 비로소 우리의 사운드와 정체성이 완성됐다.”고 말했다.

한 번의 갈등도 없었다고 했다. 다쿠스는 “이 친구들과 함께하는 건 결혼과 같다. 함께 있을 때 음악적으로 더 깊어진다.”고 설명했다. 판 호벤은 “음악에 대한 격렬한 논쟁은 있지만, 감정이 틀어진 적은 없다. 6개월쯤 쉬다가 손발을 맞춰 봐도 어제까지 합주했던 것처럼 편하다.”고 말했다. 판 룬도 “다른 음악가들과 트리오를 하면 항상 튀고 싶어 안달이 나는 친구들이 있다. 하지만 우리들은 셋이서 어떤 음악을 만들어 낼지에만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들이 생각하는 재즈의 매력이 궁금했다. 마크는 “즉흥성”이라고 단언했다. 미리 편곡하고, 연습해도 막상 무대에 오르면 순간의 느낌과 분위기에 따라 80%는 달라진다고 했다. 판 호벤은 “재즈를 들을 때 비로소 자유를 느낀다.”고 했다. 다쿠스는 “멤버들과, 때론 청중과 서로 대화하면서 만들어 나가는 게 재즈의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EJT의 10번째 내한 공연은 오는 16일 서울 역삼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이들은 “10번째 공연인 만큼 노래와 귀여운 춤을 시도할지 심각하게 고민 중”이라고 했다. 2만 2000~8만 8000원. (02)720-3933.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09-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