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이자조차 못 갚고 파산·청산… 기업 ‘깡통대출’ 속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11-21 02:12 금융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올해 파산 1213건… 64% 급증
부도 40% 증가 17개국 중 2위
기업 무수익여신 2조 4674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뒤 원금은커녕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에 따른 경기 부진으로 파산·청산 절차에 돌입한 기업들의 이른바 ‘깡통대출’이 속출하는 모양새다.

20일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공시한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2조 7901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3조 5770억원으로 올해 들어 28.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들의 총여신 규모가 1588조 9057억원에서 1631조 3898억원으로 2.7%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부실 대출 규모가 많이 늘어난 셈이다.

무수익여신이란 대출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받지 못해 수익이 나지 않는 대출을 말한다. 통상 3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을 ‘고정이하여신’이라고 하는데, 은행에선 무수익여신을 고정이하여신보다 더 부실한 대출로 취급한다.

5대 은행의 무수익여신은 지난해까지 감소세를 보였다.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8년 총여신(1193조 3478억원)에서 무수익여신(5조 5661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0.47%였고, 매년 하락해 지난해엔 0.18%까지 떨어졌다. 당시 금리가 비교적 높지 않았던 데다 코로나19에 따른 정부 지원 등의 영향도 있었다. 그러나 지난해 고금리 여파로 대출이자가 오르면서 무수익여신 비중은 올해 들어 0.22%로 전년도 대비 0.04% 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기업대출 부분이다. 5대 은행의 기업대출 무수익여신은 올 3분기 말 기준 2조 4674억원으로 지난해 말(1조 9153억원) 대비 28.8% 늘었다. 일부 은행은 증가폭이 50%에 달하기도 했다. 법원통계월보 등에 따르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올해 3분기 기준 121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38건)보다 64.4% 급증했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기업들의 부도가 지난해 1~10월보다 올해 같은 기간 약 40% 증가해 주요 17개국 중 2위를 기록했다”며 우려를 표했다.


민나리 기자
2023-11-21 15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