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최고경영자(CEO) 주가’라는 말을 만들어 낸 김정태 전 국민은행장이 2일 오전 10시 30분 급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67세. 증권맨으로 시작해 은행장 자리까지 올랐지만 언제나 스스로를 ‘장돌뱅이’라고 불렀던 그는 생전에 숱한 화제를 몰고 다녔다. 그런 만큼 평가도 엇갈린다. 한때 지병으로 고생했으나 건강을 되찾아 최근까지도 경기 고양시 전원주택에서 농사를 지으며 지냈다. 그런데 지난주에 갑자기 집에서 쓰러진 뒤 의식을 찾지 못했다는 것이 유족의 전언이다.
1947년 광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광주일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나왔다. 대학 졸업 뒤 잠깐 은행(조흥은행)에 몸담기도 했으나, 1976년 대신증권으로 옮긴 뒤 20년 넘게 증권업계에서 잔뼈가 굵었다. 33세에 임원(대신증권 상무)으로 파격 발탁된 뒤 1997년 동원증권 사장에 올랐다. 이듬해 주택은행(현 국민은행) 행장에 발탁되면서 금융계를 깜짝 놀라게 했고, 국민·주택은행 합병으로 탄생한 통합 국민은행장에 뽑히며 ‘스타 CEO’의 길을 걸었다. 주택은행장 시절 “월급을 1원만 받겠다”고 선언한 일화는 유명하다. 스톡옵션을 본격 도입한 것도 그다. 주택·국민은행장 시절 받은 스톡옵션이 총 200억원에 이른다. 고액 논란이 일자 절반을 사회에 기부하기도 했다. 주주가치 극대화를 추구했던 그는 주택·국민은행을 잇달아 흑자로 돌려놓았고, 그 덕분에 두 은행의 주가가 껑충 뛰었다. 이때 생겨난 신조어가 ‘CEO 주가’다. 경제관료들이 장악하고 있던 금융계에 민간 CEO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각인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채널1’(국민은행 출신) ‘채널2’(주택은행 출신)로 상징되는 오늘날의 통합 국민은행 균열을 심화시킨 장본인이라는 비판도 있다. 2004년 은퇴 뒤에도 입지전적인 CEO라는 찬사와 쇼맨십의 대가라는 냉소가 따라다녔다.
유족으로 부인 최경진씨와 아들 운식(브로드컴 근무), 딸 운영(구글 근무)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 여의도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4일 오전 9시다. 장지는 원지동 서울추모공원. (02)3779-1918.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김정태 전 국민은행장
하지만 ‘채널1’(국민은행 출신) ‘채널2’(주택은행 출신)로 상징되는 오늘날의 통합 국민은행 균열을 심화시킨 장본인이라는 비판도 있다. 2004년 은퇴 뒤에도 입지전적인 CEO라는 찬사와 쇼맨십의 대가라는 냉소가 따라다녔다.
유족으로 부인 최경진씨와 아들 운식(브로드컴 근무), 딸 운영(구글 근무)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 여의도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4일 오전 9시다. 장지는 원지동 서울추모공원. (02)3779-1918.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4-01-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