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특집] “발전·운영社·방폐장 등 한곳에 원전수출전쟁서 우위 선점 자신”

[원전 특집] “발전·운영社·방폐장 등 한곳에 원전수출전쟁서 우위 선점 자신”

입력 2010-08-31 00:00
업데이트 2010-08-3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성경 경북 경제과학진흥국장

이미지 확대
김선경 경북 경제과학진흥국장
김선경 경북 경제과학진흥국장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는 우리나라를 세계 3대 원전 수출 강국으로 도약시키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프로젝트의 야전사령관인 김성경 경북도 경제과학진흥국장은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플랜은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는 발전(원전)과 운영회사(한수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방폐장), 연구·실증, 기업 등 원전 관련 시설을 집적화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라며 “제대로만 추진되면 경북은 물론 한국을 세계 최강의 원전 수출국가로 우뚝 서게 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또 원자력 클러스터가 구축될 경우 관광 자원화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국장은 “전 세계가 원전 산업 집적과 육성, 수출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며 “효율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미리 국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우리나라가 최대 원전 수혜국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향후 원전시설이 집적화될 것으로 예상돼 방폐장을 유치했고, 원자력 클러스터 사업을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 사업에 포함시켜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여기에 정부가 최근 원자력발전 수출 산업화 전략을 수립, 발표하면서 그 계획을 더욱 구체화한 것이 바로 경북도가 추진하는 원전 클러스터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원자력 발전시설과 원자력 산업기반을 갖고 있는 부산, 울산 등 다른 지자체와의 정부 원전 관련 사업 유치전과 관련, 김 국장은 “경북 동해안은 다른 지역에 없는 방폐장과 한수원 본사가 있다.”면서 “특히 정부가 경주 방폐장 유치 이후 인근에 원전 관련 시설을 집중화한다는 계획을 이미 수립했고, 안정성과 경제성 면에서 도 최적지로 입증된 만큼 계획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계획만 세웠다고 바퀴가 굴러가지는 않는 법. 그는 정부의 원전 관련 사업에서 유치할 것은 적극 유치하고, 건의할 것은 건의해 국책사업에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고 했다.

김 국장은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정책과 부합하는 계획서를 만들어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민간자본을 최대한 유치해 세계 최고의 원자력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다짐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0-08-31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