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제보자들은 하나같이 제보 뒤 고소와 소송이 이어지고 조직 내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 하지만 자신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세상이 바뀌는 것을 목격한 많은 제보자들이 보람과 행복을 느끼며 살고 있다.
2003년 적십자혈액원 직원 신분으로 혈액원의 부실한 혈액 관리 실태를 제보한 김용환(56) ‘공익제보자와 함께하는 모임’ 대표는 자신의 제보로 수혈과 감염 사이의 관계를 밝혀내는 역학조사가 시행돼 태어나자마자 질병에 감염된 아기가 손해배상을 받았다며 “재판에서 이긴 아기 엄마가 4년 뒤 고맙다는 인사를 전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공복으로서 양심에 따라 행동했더니 결국 국민이 나를 지켜줬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제보 내용이 방송을 통해 공개된 지 5개월도 되지 않아 긴급체포를 당하는 등 고초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김 대표는 “당시 헌혈자와 수혈자의 정보를 공개했다며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 위반 혐의를 적용받아 체포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듬해 3월엔 해임당했고, 노조에서도 내가 허위사실을 유포해 기관의 이미지를 땅에 떨어뜨렸기 때문에 징계를 해야 한다는 성명에 연대 서명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사실 입증과 권고, 감사원의 지적에도 꿈쩍 않던 적십자사가 국민의 여론이 들끓자 그를 상대로 했던 소송과 징계를 철회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공분을 사고 나니 시민단체나 언론 등에서 끝까지 파헤쳐야 한다고 똘똘 뭉쳐줬기 때문에 복권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06년 패션 사업인 대구 밀라노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보조금 횡령을 고발한 박경욱(46)씨는 공익제보로 섬유연구기관의 지배구조를 바꿨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장이 이사장을 겸임할 수 없게 해 지역 법인 대표가 연구원장을 하면서 이사회에서 의결권까지 행사하던 폐단을 없앴다. 당시에 부패방지법 적용을 받지 않던 연구기관이 익명으로 고발 가능한 기관이 되게 하는 데도 일조했다. 하지만 그는 무엇보다 사회가 생각보다 훨씬 건전하고 양심적인 사람이 많은 곳이라는 것을 공익제보를 통해 알게 됐다고 했다. 박씨는 “당시 기자회견 중 신분을 드러내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었지만 그 과정에서 끝까지 힘을 보태줬던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양심적인 사람들이 있어서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때의 인연으로 현재까지 대구참여연대 동구주민회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신문이 만난 공익제보자들은 지금도 공익제보를 망설이고 있는 공직자들이 자신의 양심과 제보로 인해 닥쳐올 유·무형의 불이익, 보복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들에게 양심에 따라 행동하면 그 제보의 최대 수혜자인 국민이 그들을 보호할 것이고 나처럼 남은 평생을 보람 속에서 살 수 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전했다. 박씨도 “공익제보를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음속에 용기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전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탐사보도팀
김용환 ‘공익제보자와 함께하는 모임’ 대표
김 대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사실 입증과 권고, 감사원의 지적에도 꿈쩍 않던 적십자사가 국민의 여론이 들끓자 그를 상대로 했던 소송과 징계를 철회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공분을 사고 나니 시민단체나 언론 등에서 끝까지 파헤쳐야 한다고 똘똘 뭉쳐줬기 때문에 복권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06년 패션 사업인 대구 밀라노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보조금 횡령을 고발한 박경욱(46)씨는 공익제보로 섬유연구기관의 지배구조를 바꿨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장이 이사장을 겸임할 수 없게 해 지역 법인 대표가 연구원장을 하면서 이사회에서 의결권까지 행사하던 폐단을 없앴다. 당시에 부패방지법 적용을 받지 않던 연구기관이 익명으로 고발 가능한 기관이 되게 하는 데도 일조했다. 하지만 그는 무엇보다 사회가 생각보다 훨씬 건전하고 양심적인 사람이 많은 곳이라는 것을 공익제보를 통해 알게 됐다고 했다. 박씨는 “당시 기자회견 중 신분을 드러내면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었지만 그 과정에서 끝까지 힘을 보태줬던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의 양심적인 사람들이 있어서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때의 인연으로 현재까지 대구참여연대 동구주민회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신문이 만난 공익제보자들은 지금도 공익제보를 망설이고 있는 공직자들이 자신의 양심과 제보로 인해 닥쳐올 유·무형의 불이익, 보복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들에게 양심에 따라 행동하면 그 제보의 최대 수혜자인 국민이 그들을 보호할 것이고 나처럼 남은 평생을 보람 속에서 살 수 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전했다. 박씨도 “공익제보를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음속에 용기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전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탐사보도팀
2014-01-2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