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빼돌려 을사늑약 체결 막아라” 13

“고종 빼돌려 을사늑약 체결 막아라” 13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8-09-28 00:43
업데이트 2018-09-28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 발굴 조선 첩보소설 ‘황제 납치 프로젝트’ 13회

서울신문은 일제 침략 당시 독립운동가의 활약을 소재로 한 해외소설 두 편을 발굴했습니다. 글쓴이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겸 시나리오 작가 로버트 웰스 리치(1879~1942)이고, 두 소설의 주인공은 대한매일신보와 코리아데일리뉴스(KDN)를 창간해 우리 민족 항일의식을 고취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1872~1909·한국명 배설)입니다. 100여년 전 발간된 이 소설에는 베델뿐 아니라 ‘고종의 밀사’로 잘 알려진 호머 허버트(1863~1949), 노골적 친일 행보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살된 더럼 화이트 스티븐슨(1851-1908), 조선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1841~1909), 을사늑약 직후 자결한 충신 민영환(1861~1905) 등 역사적 인물이 대거 등장합니다. 작가가 실제로 조선에 와서 베델 등을 취재해 쓴 이 소설에는 고종의 연해주 망명 시도 등 최근에야 알려진 극비 내용도 담겨 있어 관심을 모읍니다. 서울신문은 이 소설 가운데 하나인 ‘황제 납치 프로젝트’(1912년 12월 출간·원제 The cat and the king)를 번역해 연재 형태로 독자들에게 소개합니다.

<13회>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대한제국 당시 제물포항의 모습. 서울신문 DB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대한제국 당시 제물포항의 모습. 서울신문 DB
내가 점심을 먹으러 애스터하우스 호텔(지금의 서대문역 농협중앙회 터)로 돌아오자 하기와라(훗날 조선의 2대 총독이 되는 하기와라 슈이치)의 부하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소녀가 내 앞으로 보낸 메모를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내용은 이러했다.

“빌리씨, 수고스러우시겠지만 오늘 저녁 시간되실 때 제물포로 내려가실 수 있으세요? 모험을 좋아하는 내 친구들이 옌타이에서 요트를 타고 서울로 온답니다. 호랑이 같은 맹수를 사냥하고 싶어해요. 대한제국의 무시무시한 세관 규정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도록 힘을 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오늘밤이나 내일 아침 일찍 제물포로 올 것 같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 친구들은 이 나라의 정치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총을 들고 오다가 자칫 조선왕실을 위협하려는 것으로 의심받을까 크게 염려하고 있어요. 당신은 대한제국 세관을 지키는 중요한 관리시니까 이 분들이 문제 없이 통과시켜 주실 것으로 기대하겠습니다.

P.S. 참, 그들은 당신과 함께 배를 통해 한강을 타고 서울로 오고 싶어하더라구요. 작지만 즐거운 소풍이 되실 듯합니다.”

참으로 뻔뻔한 소녀였다. 이미 하기와라의 부하들이 이 글을 다 봤을텐데...중국에서 온 이들을 잡아 가라고 아주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지시를 하셨구만...나는 속으로 크게 웃었다. 물론 여기에 적힌대로 보트를 이동시킬 생각은 전혀 없었다. 아마도 자칼(하기와라)은 고종 망명 시도가 마무리된 뒤 이 쪽지를 복기하며 소녀에게 크게 속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대한제국 당시 인천해관의 모습. 서울신문 DB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대한제국 당시 인천해관의 모습. 서울신문 DB
나는 그녀의 요구대로 제물포로 내려갔다. 그리고 만조가 되자 길게 잘 빠지고 매끈하게 생긴 요트가 속도를 내며 들어왔다. 얼간이 하기와라는 소녀에게 홀딱 빠져 이 요트가 제물포항을 잘 통과시키라고 인천해관에 지시까지 내렸다. 이 사실을 내가 안 순간 얼마나 큰 충격을 받았는지 생각해 보라. 소녀의 일하는 방식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세련되고 정교했으니까.

나는 부두에서 요트에 탑승한 뒤 소녀의 편지를 금발 머리를 한 잘생긴 젊은 프랑스인 몬샤르 레이나드에게 보여줬다. 그는 황제 납치 프로젝트의 지휘관이었다. 그와 함께 온 두 명의 프랑스인 일행도 있었다. 이들 말고도 승무원 5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

내 편지를 주자 이들은 굳이 나에 대해 물을 필요가 없었다. 레이나드씨와 나는 공동으로 여기에 적힌 사냥 여행에 관한 사실을 확인하는 것 말고 또 뭔가 다른 모험이 있는지 살폈다. 하지만 이것 말고는 다른 사람의 지시에 대해 둘 다 아는 바가 없었기에 우리는 다음날 다함께 한강을 거슬러 서울 쪽으로 올라가기로 했다. 나는 오랫동안 도요새 사냥을 해왔기 때문에 한강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우리는 양주(번역자주:원본에는 angjou로 돼 있지만 yangjou의 오기로 보임)와 서울 성곽 벽이 있는 곳의 중간쯤(과거 경기 양주군에 속해있던 광진이나 뚝도진으로 추정)에 닻을 내렸다. 강물이 구부러져 흘러 시야가 가려져 있고 북문(숙정문·지금의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소재)에서 큰 길로 나가면 10㎞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 지휘관인 프랑스인(몬사르 레이나드)은 “바로 이곳이 도요새를 사냥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같다”고 운을 띄웠다. 나 역시 그들의 의견에 동의했다. 조선 황제로 이곳으로 데려오라는 뜻이었다. 나는 이들과 잠깐 사냥을 같이 한 뒤 거사일을 확정하고 그들과 헤어졌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서울 광나루의 1960년대 모습. 당시만 해도 이곳은 모래가 많아 강수욕장으로 인기가 높았다. 서울신문 DB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서울 광나루의 1960년대 모습. 당시만 해도 이곳은 모래가 많아 강수욕장으로 인기가 높았다. 서울신문 DB
나는 레이나드와 약속할 때 그의 눈에서 뭔가 불길한 느낌을 감지했다. 하지만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아마도 미신에 푹 빠져 있다고 소문이 난 조선 황제가 엉뚱한 이유로 계획을 취소시키지 않을까 우려했던 것 같았다.

나는 정오쯤 서울로 돌아왔다. 그날 밤 베델(어니스트 토머스 베델)과 함께 민영환 대감의 집으로 갔다. 민 대감은 황제를 태울 보트가 들어왔다는 소식에 매우 흥분했다. 혹시라도 누가 엿듣고 있지 않은지 문을 열어 밖을 몇 번이나 확인한 뒤에야 지난 며칠간 궁전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황제 납치 프로젝트’는 14회로 이어집니다.

번역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