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직원만 700여명…대통령실장이 ‘넘버 2’ 임기초 ‘어공’ 말기 ‘늘공’
대통령과 일하는 청와대 직원은 경호처 직원(700여명)까지 포함하면 1250여명이다. 경호처 직원을 제외한 청와대 직원은 550여명으로, 이 가운데 비서관과 행정관(2~5급)이 250여명이다.이명박 정부는 몇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는데, 현재 청와대는 대통령실장, 정책실장, 9명의 수석비서관, 6명의 기획관, 45명의 비서관을 두고 있다. 청와대에서 대통령 다음 ‘넘버2’인 대통령실장은 장관급이다. 직원들은 약칭 ‘대실장’이라고 부른다. 선임행정관(2급)을 포함한 이하 청와대 행정관 인사는 대통령실장이 한다.
정책실장은 경제, 교육, 복지, 녹색성장 등 정책 분야를 총괄한다. 직급은 장관과 차관 사이다. 청와대 수석비서관은 차관급이지만, 실제 부처를 관할하며 일을 하기 때문에 장관 못지않은 권한을 갖고 있다. 비서관(1급)은 직업공무원의 경우 ‘엘리트’만 청와대에 파견되기 때문에 부처에 돌아갈 때는 대부분 본부 차관이나 외청장 등 차관급으로 승진해서 간다.
청와대 직원들의 출신은 다양하다. 기획재정부·외교통상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 공무원 출신, 국회의원 보좌관, 대선 캠프 등 정치권 출신, 검찰, 경찰, 시민단체, 언론인, 대학교수 출신 등이다. 임기 초에는 이른바 ‘어공’(어쩌다 공무원)이 상대적으로 많다가 임기 말에 접어들면 직업공무원인 ‘늘공’(늘 공무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건 어느 정권에서나 마찬가지다. 정권이 종착점을 향해 가면서 청와대 ‘어공’들이 공기업, 공공기관, 민간기업으로 앞다퉈 옮기면서 ‘각자도생’에 나서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 역시 같은 행보를 밟고 있다. 임기를 두 달 남겨 놓은 현재 정무기획비서관을 포함해 비서관 이상 중 다섯 자리가 공석이다.
2012-12-2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