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백윤 기자의 독박육아] ‘좋은 소식’은 새댁에게 차라리 묻지 마세요

[허백윤 기자의 독박육아] ‘좋은 소식’은 새댁에게 차라리 묻지 마세요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5-09-25 16:44
수정 2015-09-25 2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절 연휴. 대부분의 ‘며느리’들이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 시간들을 부담스러워할 테지만, 특히 더 가시방석에 앉아 비수를 꽂히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도대체 아기가 왜 안 생기느냐”, “좋은 소식은 언제 들려줄 거냐”는 등의 질문에 또다시 시달려야 하는 부부들이다.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묻지 않으려고 최대한 조심하는 부분이 생겼다. 바로 자녀 계획에 대한 질문이다. 아이 한 명을 키우기가 얼마나 힘이 드는지 뼈저리게 절감했을뿐더러 아기를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하거나 여러 이유로 잃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는 것을 경험한 이유에서다. 누구나 엄마가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엄마라는 이름을 갖는 것조차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계획보다 일찍 아기가 생기는 바람에 주변에서 “아기는 왜 안 갖느냐, 언제 갖느냐” 등의 질문 세례를 받지는 않았다. 그래서 잘 몰랐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남의 자녀 계획에 관심을 쏟는 줄을 말이다. 단순한 궁금증에 잔소리를 넘어서 아예 취조를 하는 듯한 치밀한 물음이 이어졌다.

게다가 임신했을 무렵 우연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많이 주변에서 아기 문제로 마음고생하는 사람들이 생겼다. 아기를 간절히 기다리지만 생기지 않는 부부, 유산을 한 부부, 조산을 한 부부. 모든 아픔이 아주 가까이서 일어났다.

●난임 매년 증가… 왜 그런지는 아직 아무도 몰라

보건복지부는 난임에 대해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성생활을 1년간 지속했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1년 안에 아기를 갖는 것이 오히려 기적처럼 보였다. 임신해서 몸이 너무 힘들다는, 아기 키우기가 너무 버겁다는 투정을 아무에게나 자유롭게 할 수가 없었다. 내가 그렇게 힘들고 버거워하는 아기를 지인들은 너무나 간절히 기다렸기 때문이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김제식 새누리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난임’ 진단을 받은 환자는 2010년 19만 8197명에서 2011년 20만 5297명, 지난해에는 21만 5392명으로 늘어났다. 병원에서 진단을 받은 정도가 이만큼이니 아직 병원을 찾지 않은 사람들까지 더하면 더욱 많을 것이다.

지난해 난임 진단을 받은 21만 5392명 가운데 남성 요인이 4만 8475명, 여성 요인이 16만 4077명, 습관성 유산이 6513명으로 분류됐다. 보통 여성의 경우 고령 임신(35세 이상)이 늘어나면서 난소 기능이 저하되고 자궁내막증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의 경우엔 스트레스나 음주, 흡연 등이 정자의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그런데 주위에서는 정말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도 아기가 안 생기는 경우가 허다했다. 첫아이를 빨리 임신하고 건강히 낳았어도 둘째 아이가 쉽게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임신 6~8주 초기 유산은 생리처럼 흔하다는데…

아기가 왜 안 생기는지, 아무도 그 이유를 딱히 알지 못하는데 사람들은 너무나 쉽게 그 이유를 캐물었다. 부부 중의 하나가 큰 문제가 있는 것 같은 시선을 보내는가 하면 “남편의 문제냐, 네 문제냐”며 생판 남의 난자와 정자의 건강까지 걱정한다. 심지어 “아기를 가지려면 이렇게 하라”며 부부 관계에 관한 충고까지 서슴지 않으니, 과연 우리가 자유로운 사회에 살고 있다고 자부해야 하는 건지 착각이 들 정도다.

사람들에게 “아기가 왜 없느냐”고 묻지 못하는 진짜 이유는 바로 유산 때문이다. 임신을 어렵게 하더라도 그 뒤가 더욱 문제다. 아기를 열 달 동안 무사히 품는 것이 이렇게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이전에는 미처 알지 못했다. 임신 6~8주쯤의 초기 유산은 매달 생리를 하는 것처럼 흔한 일이라는 말까지 있다. 임신을 확인하고 뛸 듯이 기뻐했는데 바로 다음주 아기의 심장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는 사연은 육아 커뮤니티의 단골 소재다. 차라리 빨리 잃었으니 덜 슬플 것이라고 어느 누가 말할 수 있을까. 시간이 길든 짧든 내 품 안에 찾아왔던 생명을 잃었을 때의 기분이 어떨지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다.

남인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임신부 10명 중 1명꼴로 유산의 아픔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출생자 및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임신 출산 진료비를 지원받은 인원이 239만 3383명인 데 비해 출생자 수는 218만 6948명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를 지원받은 임신부가 출생한 아기보다 9.4% 더 많은 것이다. 경험에 비춰 봤을 때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을 받는 것도 아기가 정상적으로 자리잡은 뒤에 예정일이 정해지는 8~9주쯤이었으니 그 이전에 유산되는 일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12주가 넘으면 임신의 ‘안정기’로 여겨지지만, 나는 한결같이 “임신에 안정기는 없다”고 주장한다. 중기 유산, 사산 등으로 고통받는 엄마들을 보면서, 조산의 두려움을 직접 느꼈던 입장에서 나온 말이다.

●유산 위기 후 태아에게 “천천히 건강하게 만나자”

2013년 12월 말 기준 미숙아(37주 이전 출생) 수가 2만 6408명이었다고 한다. 당시 출생아가 전체 43만 6455명이었다. 2009년 1만 6223명에서 5년 새 1만명가량이 늘었다. 태어나는 아기는 계속 줄어드는 반면 미숙아, 또는 40주를 채웠더라도 체중이 2.5kg이 안 되는 저체중아의 출생은 매년 늘고 있다.

육아 커뮤니티에서 접한 이른둥이 엄마들의 사연은 눈물겹다. 신생아 중환자실을 오가며 안아 보지도 못하도록 자그마한 아기가 몸에 각종 의료기기를 달고 힘겨워하는 모습을 지켜봐야 한다. 때로는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조차 감사해야 한다. 하루하루를 애타는 심정으로 넘기는 엄마들에게는 아기를 끝까지 품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걱정이 서려 있다.

출산 바로 직전까지 일을 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갖고 씩씩하게 회사를 다녔던 나도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던 순간이 몇 번 있었다. 13주쯤 갑작스럽게 하혈을 해 회사를 조퇴하고 울면서 산부인과에 달려가기도 했다. 유산방지 주사를 맞은 뒤부터 뱃속 아기에게 “아가야, 빨리 만나자”는 말을 하지 않았다. 엄마 말을 잘 듣고 정말로 빨리 나올까봐였다. “정말 보고 싶지만 우리 천천히, 건강하게 만나자”고 이야기했다.

●‘생명’은 뜻·계획대로 안 돼… 아기는 모두 소중

34주에는 하루 종일 배가 불편해 퇴근 후 응급실에 갔더니 갑자기 조기 진통이라며 입원을 하라고 했다. 출산휴가를 최대한 아기와 함께 쓰겠다는 계획은 의지와 관계없이 물거품이 됐다. 일주일 동안 주사를 맞으며 병원에서 지냈고, 집에 와서도 꼼짝도 못 하고 누워만 지냈다. 그렇게 38주에 3.15kg의 아기를 낳았으니 천만다행이었다. 조산기가 있어 임신 기간 내내 병원에서 누워 지내거나 응급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엄마가 되기 위해 저마다 사연과 아픔이 있다는 것을 겪고 나니 생명에 대해서는 절대 함부로, 가볍게 말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게 됐다. 공부를 해서 대학에 가고, 취업을 한 뒤 결혼까지는 내 마음대로 할 수가 있었는데, 생명은 의지와 계획대로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깊이 새겼다. 언제, 어떻게 아기를 갖고 낳았든 태어난 아기는 그 자체로도 모두 소중하다. 아기를 기다리는 부부들과 아기를 품고 있는 예비 엄마들의 마음은 더욱 배려받아야 한다. ‘좋은 소식’은 먼저 알리기 전까지는 차라리 묻지 않는 것이 상처를 조금이라도 달래 주는 일인 것 같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15-09-2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