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골 고교 교사의 성토
“초등학교 때 어휘력 차이가 결국 고3 때 입시 성적으로까지 이어집니다.”전북의 한 농촌 고등학교에서 사회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 B(36)씨는 1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빈약한 어휘 실력 탓에 떨어진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습 능력은 고등학생이 되면 극복 불가능한 수준이 된다”며 현장의 실상을 전했다. B씨는 서울신문 특별기획 ‘2015 대한민국 빈부 리포트’ 제1회 교육편<1월 6일자 4면>을 보고 다음날 서울신문 관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감하는 글을 올렸고, 서울신문은 익명을 전제로 그와 전화 인터뷰를 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접하는 빈곤층 학생의 어휘력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다. 특히 농촌에는 조손가정, 한부모가정이 도시보다 많다. 이 가정 아이들은 부모의 보살핌을 제대로 받지 못해 독서 습관이 몸에 배어 있지 않고, 그래서 어휘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업에서 사용하는 단어는 어려워지기에 어휘력이 달리는 학생의 학습욕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고등학생이 되면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예컨대 고1 사회 교과서에 ‘지구촌화됐다’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어휘력이 약한 저소득층 학생은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 표현은 초등학교 고학년이면 배웠을 법한 것이다. 교사로서 현실이 안타깝지만 이런 아이들을 한명씩 붙잡고 가르칠 여력이 안 된다. 수업 시간은 매주 2시간뿐인데 학급당 학생 수는 27~30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어휘력 부족이 비단 저소득층 학생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는데.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아이들의 어휘 수준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건 맞다. 스마트폰에 중독돼 책 읽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든 탓이다. 하지만 저소득층 아이들은 스마트폰 중독 문제에 더 취약하다. 생계에 허덕이는 부모가 잘못된 습관을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독서를 해야 적성이나 진로를 찾을 수 있는데 그런 기회조차 없어지는 셈이다.
→저소득층 학생 대부분은 꿈조차 없다는 얘기도 들었다.
-정말 공감한다. 내가 1학년 담임인데 학기 초 학생들에게 “장래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 두라”고 했다. 학기 말이었던 지난달 희망 진로를 물어봤는데 빈곤층 아이들 대부분이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나마 진로를 적은 아이 중에는 “정규직이 되는 게 꿈”이라고 답한 아이도 있었다. 빈곤층 고3 학생의 진학 지도를 해 봐도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등 취업하기 쉬운 과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저소득층 학생들이 가장 약한 과목은.
-전반적으로 약하지만 특히 영어가 심하다. 한번 줄기를 놓치면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수학도 마찬가지다. 시골은 학원 등 사교육이 활성화돼 있지 않아 한번 뒤처지면 만회할 기회가 없다.
→부모의 소득 차이가 자녀의 학력 격차로 이어져 빈부가 대물림되는 현실을 타개할 방법은 뭐라고 생각하나.
-단순히 교육 시스템을 바꿔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사교육 잡는다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 수학 문제를 쉽게 냈더니 변별력 있는 논술 시장으로 사교육이 옮겨 가지 않았나.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의 대책은 의미가 없다. 최저임금을 올리는 등 학벌이 없어도 살 만한 소득을 올리는 구조가 돼야 한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5-01-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