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아 서울도시문화지도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6/19/SSI_20190619181031_O2.jpg)
![박정아 서울도시문화지도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6/19/SSI_20190619181031.jpg)
박정아 서울도시문화지도사
50년대 명동거리가 잘 묘사돼 있다. 이경과 옥희도가 걸었던 명동길, 이경과 태수가 종종 만나던 다방 ‘유토피아’, 지금은 아시아미디어타워가 된 수도극장, 미8군 PX에서 명동으로 가는 길의 모습이 생생하다. 작품은 50년대 서울의 공간을 잘 형상화해서 2016년 미래유산으로 등재됐다. 롯데백화점에서 명동성당에 이르는 길은 소설의 주인공인 이경과 옥희도가 자주 걸었던 길이다. 그 길은 2010년 유네스코길이라는 명칭이 부여됐다.
유네스코회관은 1966년 12월에 준공됐다. 유네스코회관은 50년이 지난 지금도 주위 건물에 견줘 볼 때 전혀 뒤처지지 않는다. 그런 이유는 당시 기술로는 힘들었던 알루미늄 커튼월 공법으로 마감됐기 때문이다. 60년대 건축구조사의 위상을 인정받아 2013년 미래유산에 지정됐다. 우리나라는 1950년 6월 14일 유네스코에 가입했다. 그로부터 11일 후 한국전쟁이 났고, 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리나라의 교육 재건을 위해 유네스코와 운크라(유엔한국재건단)는 24만 달러를 지원해 대방동에 대한문교서적 인쇄공장을 건설했다.
1956년 이 공장에서 발행된 교과서로 공부했던 한국의 한 어린 학생이 훗날 2012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를 방문해 자신이 공부한 자연교과서를 기증했다. 그는 바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었다. 그 교과서는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에 전시돼 있다. 유네스코회관 10층에 위치한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우리나라가 70년 전에 받았던 도움을 저개발 국가에 돌려줌으로써 우리나라가 양심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박정아 서울도시문화지도사
2019-06-2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