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진진 견문기] 공단 주거지·현대적 건물 공존… 둘러보는 재미가 쏠쏠

[흥미진진 견문기] 공단 주거지·현대적 건물 공존… 둘러보는 재미가 쏠쏠

입력 2019-07-10 17:32
업데이트 2019-07-11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세원 이화여대 사범대학 초등교육전공
박세원 이화여대 사범대학 초등교육전공
첫 투어장소는 46년 역사를 자랑하는 공씨책방이었다. 생애 처음으로 LP 판을 접해볼 수 있었다. 누렇게 바랜 빛으로 지나간 세월의 무게를 전하는 책들을 바라보노라니 저절로 겸허한 마음이 들었다. 성수동 공공안심상가로 옮겨오지 않았다면 만나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장소인 붉은 벽돌마을로 이동했다. 1970~80년대에 지어진 붉은 벽돌 주거단지가 줄지어 이어져 있었고, 간간이 현대적이고 유행을 앞서가는 카페나 음식점, 가게들과 한창 신축 준비 중인 건물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익숙함과 생경함이 뒤섞여 있어서 그 나름대로 독특하고 보는 재미가 있었다. 길목 담벼락마다 음악과 관련된 벽화들이 가득한 성수아트홀로 넘어갔다. 한강의 흐름이 고스란히 담긴 물결 디자인과 자연 채광을 활용한 유리건물이 아름답게 빛나고 있었다.

성수 수제화 거리에서 수제 신발을 살펴보니 그 정성과 색다른 디자인이 눈을 사로잡아, 신발을 맞춰 신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매력적이었다. ‘좋은 신발은 좋은 곳으로 데려간다’라고 하는데, 이렇게 편하고 멋진 신발을 더 많은 사람들이 애용했으면 좋겠다. 2014년 설립된 예술인재들을 지원하는 우란문화재단에 들렸다. 다각형의 콘크리트 매스가 각각 다른 곳을 바라보며, 블록을 쌓아올린 형태의 현대적 건물이었다. 그럼에도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생각해 시각적, 물리적 연결성을 고려해 지어졌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들린 서울경찰기마대는 조선시대 사복시(말, 수레 등을 관리하는 관청)의 명맥을 이어받은 곳이라고 했다. 건강하게 윤기 나는 말들에게 당근을 먹여 주다 보니 친근한 정이 샘솟았다. 말먹이 주기 액티비티를 체험하게 해준 서울도시문화연구원에 감사했다. 오늘 다녀본 성수동은 1970~80년대 산업화 흔적이 많이 남아있는 곳이었다. 과거의 흔적을 낡았다고 무조건 바꾸거나 고치려고 하기보다는 본래의 느낌과 개성을 최대한 살려 보존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성수동이 서울사람들의 버킷리스트가 되길 바란다.

박세원 이화여대 사범대학 초등교육전공

2019-07-11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