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심판 왜 꼭 여기서 하냐” “3선했다고 거저 이길수 없어”
한나라당 이재오 후보의 출마로 전국적 관심을 끈 은평을 지역의 7·28 국회의원 재선거는 일찌감치 야권의 정권심판론 대 이 후보의 지역일꾼론 대결구도로 규정됐다. 하지만 이런 거대담론들은 정작 주민들에게는 설득력 있게 다가오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7·28 재·보선을 하루 앞둔 27일 오전 서울 은평을 선거구에 출마한 한나라당 이재오(왼쪽) 후보와 민주당 장상 후보가 각각 지하철 구산역과 연신내역 앞에서 출근하는 주민들과 악수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선거일을 불과 하루 남겨둔 27일 만나본 주민들은 “정권 심판은 좋은데 그걸 왜 꼭 우리 동네에서 해야 하느냐.”고 되물었다. “중앙정치에만 몰두하다 떨어질 때는 언제고 다시 우리 동네를 발판삼겠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염증도 냈다. “이재오는 싫은데, 장상도 대안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고민하는 주민들도 많았다.
●“우리가 만만한가?”
역촌동에서 나고 자랐다는 이모(36·여)씨는 “미더운 공약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으로 복귀하겠다는 쪽과 그걸 막겠다는 쪽의 대결밖에 안 되니, 처음엔 괜히 정치놀음에 껴서 놀아나는 기분이라 투표도 하기 싫었다.”고 말했다.
역촌동 주민 문모(57)씨는 “이재오씨도 싫고, 이명박정권의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에도 반대하지만 그렇다고 왜 꼭 여기서 정권심판을 해야 하느냐.”고 했다. 은평뉴타운 주민 김미숙(42·여)씨는 “야권 단일화가 지역이나 주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당선을 위한 합작같은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이용덕(58·택시기사)씨는 “예전에는 이재오 후보를 찍었는데 3선하면서 터줏대감이라고 자만심에 빠진 것 같다.”고 했다.
갈현2동에 거주하는 오현희(58·여)씨는 “다른 지역에 갈 수 있는데도 포기하고 계속 살아온 은평을 토박이들은 프라이드가 세다.”면서 “이재오씨가 3선 했다고 거저 이길 수도 없을 것이고, 장상씨가 정권심판하자고 막 달려든다고 쉽게 먹힐 동네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남은 2년까지 날릴 순 없다”
주민들은 ‘실익’을 강조했다. 18대 총선 때 당선된 창조한국당 문국현 전 대표의 의원직 상실로 지역구에는 남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잔여임기가 2년도 안 된다지만, 이번에도 잘못 뽑으면 주민들은 4년을 통째로 잃는 셈이다.
갈현동 주민 홍성용(55)씨는 “이미 2년을 버렸으니 힘있는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그나마 우리지역이 발전된다.”면서 “이재오씨도 이게 마지막이라는 걸 알테니 오죽 잘하겠느냐.”고 했다.
하지만 역촌동 주민 김모(38·여)씨는 “이재오씨가 나홀로선거를 한다는데 너무 동정표를 노린 것 같다.”고 말했다. 진관동에서 살다 뉴타운이 들어서는 통에 쫓겨났다는 김씨의 어머니(65)도 옆에서 “우리 동네 살던 사람이 나을 것 같다가도, 그게 정답인지 모르겠다. 국회 들어가서 당싸움이나 안 했으면 좋겠다.”고 거들었다.
구산동에 10여년 동안 살았다는 차창진(39)씨는 “이재오씨가 나쁘다는 건 아니지만 계속 중앙정치만 하느라 지역에 소홀했고, 야권이 단일화했는데도 대안으로는 부족해보인다. 주변에서도 아직까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지혜·강주리기자
wisepen@seoul.co.kr
2010-07-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