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민주당-인물 포커스] ④ 박주선 의원

[기로에 선 민주당-인물 포커스] ④ 박주선 의원

입력 2010-08-05 00:00
업데이트 2010-08-0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주류 목소리 대변 ‘다크호스’

9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쟁투를 벌이고 있는 민주당의 시선은 정세균 전 대표, 정동영 의원, 손학규 전 대표 등 이른바 ‘빅3’에 쏠려 있다. 그러나 반드시 3파전 양상으로만 치닫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른바 ‘다크호스’ 부상론이다.

이미지 확대
박주선 의원
박주선 의원
정 전 대표가 이끈 지도부에서 ‘비주류 목소리’를 대변해온 박주선 전 최고위원이 유력한 다크호스다. 4일 의원회관에서 만난 박 의원에게 “대표가 될 가능성이 정말로 있다고 보느냐.”고 물었더니 한 여론조사기관의 최근 자료를 보여줬다. 당 대표 선호도가 손학규(26.9%), 정동영(18.9%), 정세균(15.8%), 박주선(15.3%), 천정배(9.4%) 순이었다. “이 정도면 ‘빅4’로 분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박 의원은 7·28 재보선 패배 직후 지도부 내에서 유일하게 지도부 총사퇴와 비대위 구성을 주장했다. 당에선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왜 자꾸 다른 소리를 내느냐.”는 비판이 많았다. 그는 “반드시 이겨야 할 선거에서 졌고, 이명박 정부에 면죄부를 줬으며, 한나라당 견제의 동력을 떨어뜨린 뼈아픈 패배였기 때문에 총사퇴는 당연했다.”면서 “패배의 책임이 아니라 공정한 전당대회 관리 때문에 퇴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 정 대표는 끝까지 진정성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특히 ‘물레방아식’ 대표는 안 된다며 ‘빅3’를 싸잡아 견제했다. “당의 수장을 맡다가 문제가 생기면 잠시 물러나고, 기회가 생기면 다시 나오는 인사들로는 국민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 지도급 인사의 임무교대가 반드시 필요하며, 대선에 도전할 사람보다는 당을 수권정당으로 만들 관리형 대표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박 의원은 대의원 표심을 파고들 생각이다.

박 의원의 강점은 옛 민주계의 지원으로 대의원 수가 가장 많은 광주·전남에서 상당한 세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광주·전남을 넘어서기가 힘들다는 뜻이기도 하다. 박 의원은 “2년 전 최고위원 선거에서도 나의 당선을 점친 사람은 별로 없었다.”면서 “남들이 끝났다고 했을 때 다시 일어선 ‘스토리’를 갖고 있는 나를 통해 민주당의 새 희망을 꿈꾸는 대의원들이 다른 지역에도 많다.”고 말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0-08-0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