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양상 리비아… 한국교민 탈출 이모저모
리비아 트리폴리 공항에서 198명의 교민을 태운 전세기가 이집트 카이로 공항에 무사히 도착했다. 그러나 정부가 섭외한 이 첫 전세기는 운행허가를 받고도 카이로 공항에서 20여 시간을 대기해 탑승을 마냥 기다리던 교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도착이 미뤄진 것은 리비아 당국이 제때 착륙 허가를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설현장 직원과 가족 등을 포함한 리비아 교민 198명이 25일 오전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를 떠나 이집트항공 특별 전세기 편으로 카이로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불안과 공포 속에 트리폴리 공항에서 24시간 이상 대기했던 교민들이 초췌한 표정으로 공항 청사를 빠져나오고 있다.
카이로(이집트) 연합뉴스

“휴~ 카이로다”
건설현장 직원과 가족 등을 포함한 리비아 교민 198명이 25일 오전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를 떠나 이집트항공 특별 전세기 편으로 카이로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불안과 공포 속에 트리폴리 공항에서 24시간 이상 대기했던 교민들이 초췌한 표정으로 공항 청사를 빠져나오고 있다.
카이로(이집트) 연합뉴스
건설현장 직원과 가족 등을 포함한 리비아 교민 198명이 25일 오전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를 떠나 이집트항공 특별 전세기 편으로 카이로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불안과 공포 속에 트리폴리 공항에서 24시간 이상 대기했던 교민들이 초췌한 표정으로 공항 청사를 빠져나오고 있다.
카이로(이집트) 연합뉴스
25일 국토해양부와 외교부 등에 따르면 이집트항공의 이 전세기는 이날 오전 8시 40분쯤(이하 현지시간) 트리폴리 공항을 이륙, 오전 11시 20분쯤 카이로 공항에 착륙했다.
정원 260명의 전세기에는 당초 교민 560여명이 탑승을 신청했다. 하지만 상당수 교민이 탑승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사관 관계자는 “대한항공 전세기가 투입된다는 소식에 교민들이 곧바로 인천공항으로 귀국하려고 탑승을 미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건설사 관계자는 “일부 교민들은 공항 대기실에서 장시간 대기하는 것을 포기하고 트리폴리의 안전지대로 복귀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각국의 전세기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공항이 아수라장으로 변한 탓이다. 이에 따라 전세기 투입이 늦어진 데다 전세기 비용까지 개별 기업에 부담시킨 정부의 늑장 대응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이집트항공의 트리폴리~카이로 편도 운임은 평소 1인당 300달러 안팎이지만 이번 전세기 운임은 600달러를 호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비용은 부처 간 이견 끝에 기업이나 개인이 부담했다. 전세기와 관련, 외교부는 에어버스330, 국토부는 B777이라고 밝혀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리비아 사태가 내전 양상으로 번지는 가운데 항로와 육로·해로를 통한 탈출 행렬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추가로 투입된 대한항공 전세기는 이날 오후 6시쯤 트리폴리 공항에 도착, 로마를 경유해 26일 오후 6시쯤(한국시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이집트항공과 협의해 300석 규모의 전세기 1대를 트리폴리와 동부 벵가지 사이에 있는 리비아의 행정수도 시르테에 투입한다고도 밝혔다. 이 전세기는 이날 오후 2시 30분쯤(이하 현지시간) 카이로에서 이륙해 시르테 지역으로 향했다. 시르테에선 두산중공업·현대엠코 등 한국 기업들이 줄곧 전세기를 요구해 왔다. 국토부는 이곳 교민이 200여명, 외교부는 최소 68명이라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리비아 현지에 남아 있는 우리 교민은 23일 1351명에서 이날 580여명으로 줄었다. 항공과 육로, 배편으로 탈출이 본격화되면서 정확한 인원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앞서 이날 교민 77명은 정부가 마련한 육로를 통해 튀니지로 탈출했다. 앞서 전날 오후 8시쯤 동부 지역 벵가지에서 출발한 터키 선박에는 한미파슨스, 대우자판 등 우리 근로자와 교민 50여명이 탑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건설의 데르나 현장 근로자 53명은 이미 카이로로 이동했고, 벵가지 인근 굽바에서 주택 공사를 하는 현대엠코의 한국인 직원 40여명도 외국인 근로자 900명 전원과 함께 전세기와 선박, 버스 등에 나눠 타고 카이로와 터키 등으로 탈출 중이다. 일부 업체는 계약상 외국인 근로자들의 안전도 책임져야 하기에 철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설영·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2-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