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관계 새봄 오나

한·중관계 새봄 오나

입력 2011-04-23 00:00
수정 2011-04-23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통’ 주중대사 발탁 향후 전망은

주중 한국대사가 1년 반 만에 대통령 측근에서 직업 외교관으로 바뀌게 되면서 우여곡절이 많은 대중 외교가 나아질 것인지 주목된다.

정부 소식통은 22일 “주중 대사가 정치적 임명에서 커리어 외교관으로 바뀐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대중 외교를 더욱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어는 물론, 대중 관계를 아는 외교관이 내정됐다는 점에서 한·중 관계 개선에 나서겠다는 의지도 읽힌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장 출신인 류우익 대사가 지난 2009년 12월 주중 대사로 임명됐을 때는 실세 대사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했다. 그러나 대중 외교는 지위보다는 인맥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중국어에 능숙하지 않은 정치권 출신 대사의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는 것이 외교가의 중론이다. 중국 근무를 오래 했던 한 외교관은 “중국은 높은 지위에 있기 때문에 만나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과 친분이 얼마나 쌓이고 신뢰가 생겼느냐에 따라 외교 관계가 이뤄진다.”며 “그런 의미에서 중국어를 할 수 있는 것은 필수적이며, 정보 교류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중 대사로 6년 7개월 재직, 최장수 대사를 기록한 김하중 전 대사는 유창한 중국어에다 폭 넓은 인맥으로 중국 고위층과도 터놓고 지낼 수 있는 관계를 형성했다. 후임 신정승 전 대사도 한·중 수교 시 실무를 맡는 등 경험을 바탕으로 무리 없이 업무를 진행했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지난 21일 주중 대사로 내정된 이규형 전 주러시아 대사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이 대사 내정자는 중국을 비롯, 일본·러시아·유엔 등에서 근무한 전천후 외교관으로, 다자는 물론, 양자 외교에서도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북·중 관계와 미·중 관계가 미묘하게 전개되는 상황에서, 신임 주중 대사의 어깨는 어느 때보다 무겁다.

한 외교 소식통은 “언어는 기본이고 중국과의 미묘한 관계를 풀 수 있는 외교력과 함께, 북한·미국 등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외교 전략이 중요하다.”며 “이명박 정부의 대중 외교가 심화되려면 주중 대사와 본부 간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4-2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