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운영위 철야 논란서 총사퇴 권고안 의결까지… 33시간 막전막후
4·11 총선 비례대표 후보 경선 부정과 관련해 통합진보당이 ‘대표단 및 순위 경쟁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전원 총사퇴’ 권고안을 전국운영위원회에서 의결하기까지는 장장 33시간이 걸렸다. 그야말로 총성 없는 ‘전쟁’이었다. 이정희 공동대표 등 당권파는 비당권파의 권고안 처리를 저지하기 위해 세(勢)를 규합, 회의장 출입문 봉쇄에 나섰고 유시민·심상정·조준호 공동대표 등이 주도하는 비당권파는 이를 피해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폐쇄형 카페를 개설해 ‘전자 회의’를 열고 권고안을 처리했다.

운영위 회의는 지난 4일 오후 2시 국회 도서관에서 시작해 저녁 국회 의원회관으로 이동한 뒤 다음 날 새벽까지 밤샘 공방 속에 정회와 속개를 거듭했다. 운영위는 5일 오전 7시 이 대표가 ‘권고안’ 표결에 반대하며 사회권을 내놓고 퇴장하자 오전 8시 30분 산회한 뒤 전자회의 방식으로 밤 11시 40분 마무리됐다.
4명의 대표단과 운영위원 간 공방은 12시간 이상 지속됐다. 지루하게 이어지던 공방은 김종민 운영위원이 5일 새벽 2시 윤금순 비례대표 당선자 등 운영위원 20명의 동의를 얻어 발의한 ‘비례대표선거 진상조사위 결과보고에 대한 후속조치의 건’이 현장발의안으로 상정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대표단 전원 사퇴와 비상대책위 구성, 당권파 비례대표인 이석기·김재연(2·3번) 후보를 포함한 경쟁 순위 비례대표 당선자 및 후보자의 총사퇴 등이 담긴 권고안이 올라오자 방청석에 있던 당권파 당원들은 거세게 항의했다. 조승수·현애자 등 복수의 운영위원은 “더 이상 토론은 무의미하다. 현장 발의안에 대한 표결을 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부실 조사사례를 언급하며 “진상보고서의 부실을 인정하고 (부정선거자로) 모함받은 당원들에게 진상조사위원장이 사과해야 한다.”며 반대했다. 그러자 비당권파는 이 대표에게 “사회권을 넘겨라.”라고 압박했다. 이 대표는 “안건 처리에 대해 더 이상 사회를 볼 수 없다. 의장으로서 공식회의는 이번이 마지막”이라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유 대표가 사회권을 넘겨 받아 표결 절차에 돌입했으나 참관하던 당권파 당원들은 강력 반발했다. 유 대표는 “나가 달라.”고 했으나 고성 등으로 회의를 더 이상 주재할 수 없게 되자 “다른 곳에서 하겠다.”며 산회를 선포했다.
이후 당권파 당원 100여명은 ‘당원 민주주의 사수’ ‘운영위 해산’ ‘비대위 불법’ 등 피켓시위를 하며 운영위원의 회의장 출입을 막았다. 유 대표 등은 오후 3시 의원회관에서 회의를 속개하려고 했으나 저지당했다. 그는 “폐쇄형 카페를 설치해 전자투표로 운영위원회를 속개하겠다.”며 운영위원들의 참석을 부탁했다. 권고안은 오후 11시 40분 운영위원 50명 중 28명이 참석한 인터넷상 전자회의에서 일부 수정된 뒤 전원 찬성으로 통과됐다. 당권파들의 불참으로 반대는 없었다. 통과시킨 수정안에는 부실 논란이 인 ‘진상조사위원회의 보고서에 근거하여’란 조항은 빠졌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2-05-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