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사학과 가려다 공대 간 이유 알고보니

박근혜, 사학과 가려다 공대 간 이유 알고보니

입력 2012-08-21 00:00
업데이트 2012-08-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 대선후보 박근혜] 성장과정서 정계입문까지

교사를 꿈꾸던 소녀였던 박근혜 후보가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됐다. 박 후보는 학창 시절 ‘엄친딸’에 가까웠다. 박 후보는 서울 장충초교를 다녔으며, 초등학교 4학년 때 5·16 쿠데타를 경험했다. 이후 천주교 계열의 성심여중·고에 진학해 6년 내내 1등을 놓치지 않았다. 교사들의 의견란에 가장 많이 등장한 표현은 ‘온순, 침착, 성실, 겸손’ 등이었다. 다만 초교 1학년 때 ‘특정 아이들과만 노는 습관이 있음’, 고교 2학년 때 ‘지나치게 어른스러움이 흠’, 고교 3학년 때 ‘지나친 신중성 때문에 과묵한 편’ 등의 평가가 눈에 띈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뒷줄 오른쪽)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학창시절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모습. 아버지인 박정희(뒷줄 가운데) 전 대통령이 블록 쌓기 놀이를 가족들과 함께하고 있다. 뒷줄 왼쪽이 어머니인 고 육영수 여사, 앞줄 왼쪽이 동생인 지만, 오른쪽이 서영씨.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박근혜(뒷줄 오른쪽)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학창시절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모습. 아버지인 박정희(뒷줄 가운데) 전 대통령이 블록 쌓기 놀이를 가족들과 함께하고 있다. 뒷줄 왼쪽이 어머니인 고 육영수 여사, 앞줄 왼쪽이 동생인 지만, 오른쪽이 서영씨.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학창시절 ‘온순·침착’… 대학 수석졸업

박 후보는 대학에서 사학을 전공하려 했으나 아버지가 전자산업에 관심이 많아 서강대 전자공학과를 선택했다는 일화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중·고교에 이어 대학 역시 수석으로 졸업했다. 평점은 4.0을 기준으로 할 때 3.82, 100점으로 환산하면 98.2점을 받았다. 박 후보는 1974년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으나 6개월여 만인 8월 광복절 경축식장에서 어머니가 절명하면서 되돌아왔다. 그는 귀국하면서 신문기사로 어머니의 별세 소식을 접했을 때 “머리에서 발끝까지 수만 볼트의 전기가 훑고 지나가는 충격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10·26이후 18년간 야인생활

이후 박 후보는 퍼스트레이디 대행을 맡았다. 1979년까지 청와대에서 아버지의 통치를 곁에서 지켜봤다. 때문에 그는 자신의 정치철학에 가장 영향을 미친 이로 “역시 아버지”를 꼽는다. 박 후보는 “아버지가 가진 역사관이나 안보관, 세계관을 들으면서 많이 배웠다.”고 말했다.

1979년 10·26사태로 아버지를 잃은 뒤 신당동 옛집으로 돌아가 18년을 야인(野人)으로 보냈다. 그는 “힘든 시기였기 때문에 책도 많이 읽고 사색도 하고 마음을 풀 길이 없어 글도 썼다.”고 말했다.

●46세때 대구 달성 보궐선거로 정계에

박 후보가 다시 정치활동을 시작한 것은 46세 때인 1998년 대구 달성 15대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시 한나라당 후보로 당선되면서다. 2000년 당 총재 경선 때는 이회창 전 총재에 이어 부총재로 당선됐지만 이듬해 ‘이회창 대세론’에 반발, 탈당해 ‘미래연합’을 창당했다. 2002년 재입당한 그는 불법 대선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당이 침몰 직전이던 2004년 3월 당 대표를 맡았다. 이른바 ‘천막당사’ 시절이다. 이후 2년 3개월간 당 대표로 재임하면서 5차례의 국회의원 재·보선과 지방선거에서 완승해 ‘선거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하지만 2007년 8월 치열한 당내 경선에서 국민여론조사에 발목이 잡혀 당시 이명박 후보에게 석패했다.

장세훈·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