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실장·국정원장 ‘공백’ 일주일째
박근혜 대통령의 안보라인 인선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애초 박 대통령은 지난 22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과 남재준 국정원장을 전격 ‘경질’한 뒤 금주 초인 26일께 후임 인선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북한의 제4차 핵실험 가능성이 여전히 제기되고 연평도에서 우리 측 함정에 북한이 포격하는 등 안보상황의 유동성이 큰 만큼, 안보라인의 공백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관측에서였다.
그러나 안보라인 사퇴 일주일째인 28일에도 공백은 이어질 가능성이 커보인다. 이날 오전에도 청와대의 인선 발표는 없었다.
이는 국가안보의 컨트롤타워격인 국가안보실장과 국정원장 자리의 중요성을 감안, 박 대통령이 인선에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가안보실장은 정부의 외교·안보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라는 점에서 전임 김장수 실장처럼 외교·안보 정책에서 박 대통령과 호흡이 잘 맞아야 한다.
국정원장 역시 간첩증거 조작과 같은 문제를 개혁해야 하는 것은 물론 대공수사와 대테러, 방첩 등 국정원 고유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두루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여기에다 최근 안대희 전 대법관의 국무총리 지명과 새누리당 정의화 의원의 국회의장 ‘예약’을 계기로 입법-사법-행정부 수장(후보자 포함)이 모두 PK(부산·경남) 지역에서 나오면서 지역편중 논란이 인 것도 인선을 늦추게 된 한 요인으로 보인다.
지역편중 논란이 결코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만큼, 박 대통령이 이번 인선에서 지역 안배를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있는게 아니냐는 얘기다.
이런 점에서 제2대 국가안보실장으로는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전임 이명박 정부부터 시작해 현 정부 출범 이후로도 계속해서 장관직을 수행해오면서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왔다는 것이 강점이다. 여기에다 호남(전북 전주) 출신이란 점은 PK 편중 논란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카드라고 볼 수 있다.
김재창 전 한미연합사 사령관도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부터 박 대통령에게 안보 관련 조언을 해온 만큼, 박 대통령의 안보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현 정부 들어 국가안보자문단에 위촉된 것도 이를 방증한다. 다만 영남(경북 봉화) 출신이라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국정원장의 경우, 국정원 전신인 안기부 2차장을 역임한 이병기 주일 대사가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 대사는 2007년 대선 경선 이후로 박 대통령에게 조언을 해온 측근 인사 중 한 명이다. 안보라인 군 독식 논란을 피할 수 있는 외교관 출신인데다 서울 출신이라는 점도 유리한 요소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정색을 하고 손사래를 치고 있다.
국정원장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황교안 법무장관은 검찰 내 대표적 공안통에다 서울 출신이다. 다만 김수민 국정원 2차장과 ‘경기고-성대 법대’ 동문이라는 점이 약점이 될 수 있다.
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검사 시절 안기부에 파견돼 근무한 적이 있는 권영세 주중 대사는 최근 제의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