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혁신위 ‘초선군단’ …“혁신 발굴보다 실천”

野혁신위 ‘초선군단’ …“혁신 발굴보다 실천”

입력 2014-09-28 00:00
업데이트 2014-09-28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주 스타트…12명 중 당연직 제외 9명 전부 초선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부 인사, 그 중에서도 초선 의원들을 앞세워 혁신 실천에 뛰어든다.

세월호 특별법 협상 실패와 외부 비대위원장 영입 파동으로 당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상황에서, 초선들의 패기를 동력삼아 강도 높은 혁신에 나서면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원혜영 혁신실천위원장은 2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1차로 혁신실천위 구성을 마쳤다”면서 “전체 위원은 12명으로 구성했고, 모두 내부 인사로만 채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대선 패배 직후 꾸려진 문희상 비대위원장 체제에서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를 혁신위원장으로 초빙한 것을 포함해 혁신위원 절반을 외부 인사로 구성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원 위원장은 “이미 당에서 만들어 놓은 많은 혁신안이 있다. 이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한 때”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혁신안을 개발하는 것이라면 외부인사를 중용할 수 있지만, 지금처럼 실천에 방점을 둔다면 내부 인사로만 구성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비대위원장 영입 파동을 거치면서 외부 인사 수혈에 대한 부담이 커진데다, 제안에 선뜻 응하려는 외부 인사를 찾기도 힘들다는 점도 영향을 줬으리라는 분석도 나온다.

외부인사가 없는 대신 새정치연합은 12명 위원 중 당연직으로 포함되는 조정식 사무총장, 우윤근 정책위의장,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 등 3명을 제외한 9명 전원을 초선으로 구성해 개혁적인 성향을 강조하기로 했다.

위원회에 참여하는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제껏 비슷한 혁신 시도를 많이 했지만 큰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이번에는 초선들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더욱 강력한 실천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실천위원회는 조만간 발족을 공식화하고 주초에 첫 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우선 거창한 혁신안 발굴보다는 기존 혁신안을 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만큼, 대선 당시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발표한 ‘새정치 공동선언’, 손학규 대표 시절 천정배 최고위원이 만든 당 개혁안,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시절 당에서 마련한 혁신안 등을 총망라해 검토하면서 실천 과제를 추릴 것으로 전해졌다.

원 위원장은 “야당이 갖고 있는 국회도서관장 추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방안과 민주정책연구원을 민간에게 개방해 운영하는 방안 등을 먼저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각종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를 포함해 의원 윤리감독위원회 설치,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중앙선관위 이전, 재보궐 선거 원인제공 정당의 해당 선거구 공천 금지 등도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논란이 된 의원 출판기념회도 원 위원장이 “현역의원의 출판기념회를 금지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진 만큼 논의에 포함될 수 있다.

원 위원장은 이 밖에도 “공직후보자를 국민 경선을 통해 선출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확대 역시 논의해 볼 수 있다”면서 “다만 야당 혼자 결정할 일이 아니며 여당과도 협의해 봐야한다”고 전했다.

원 위원장은 “어찌됐든 지금은 하나라도 더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드리는 수밖에 없다”며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