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 미사일 구매계획 없다” 재확인

국방부 “사드 미사일 구매계획 없다” 재확인

입력 2015-03-09 11:18
업데이트 2015-03-09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는 9일 여당 일각에서 미국의 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필요성을 제기한 것과 관련, “대한민국 국방부는 사드 미사일의 구매 계획이 없다”고 재확인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방어를 위해 현재 종말단계 하층방어 위주로 방어체계를 구성하고 있고, 앞으로 L-SAM(장거리 지대공미사일)·M-SAM(중거리 지대공미사일) 등을 개발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탄도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미국 정부가 주한미군에 사드 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서는 “미국 정부가 사드 미사일을 한반도, 주한미군에 배치한다는 결정을 한 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국방부에 어떠한 협의나 협조 요청도 온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주한미군 사드 배치가 국익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미국 정부가 결정해서 협조 요청이 오면 그때 가서 판단할 것”이라며 판단을 유보했다.

앞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사드 도입 문제와 관련한 정책의총을 이달 말에 열어 의견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방산비리 혐의로 구속된 현역 군인의 80%가 보석 등으로 풀려났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보석 청구로 석방된 피고인들은 군사법원이 심리한 결과, 이미 피고인들이 범죄 사실에 대해서 모두 자백했다고 한다”며 “따라서 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해당 판사가 스스로 판단해서 보석을 허가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